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8월 15, 2010의 게시물 표시

약용식물및 한의학 관련서적 목록

약용식물및 한의학 관련서적 목록 현대에 재조명되는 약용식물과 한의 관련 서적들은 전문인이나 일반인 구분없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며 특히 불확실한 정보에 의한 자생약초의 오남용을 맊기위해서는 중요한 책들이라고 생각되어 온라인을 중심으로 찾아 보며 공유하고자 한다. 건강.영양식품사전 [오꾸다히로미치, 이희윤 옮김, 유일종합기술단, 2006년] 고려의학대사전 [김동일 외 19인, 의학과학출판사, 2005년] 고어사전 (古語辭典)[남광우, 일조각, 1960년] 국역본초강목 (國譯本草綱目)[이시진, 1~52권, 1596년, 이창빈, 안병국, 이상인, 홍원식 감수, 1~15권 번역중 1~3권만 발행, 행림출판사, 1977년] 남북한 의학용어 [대한의사협회, 도서출판 아카데미아, 1996년] 농업백과사전[1권] [리범수 외 239인, 농업출판사, 1999년] 농업백과사전[2권] [리범수 외 237인, 농업출판사, 2001년] 농업백과사전[3권] [리범수 외 239인, 농업출판사, 2002년] 농업백과사전[4권] [리범수 외 248인, 농업출판사, 2003년] 농업백과사전[5권] [리범수 외 263인, 농업출판사, 2004년] 농업백과사전[7권] [리범수 외 270인, 농업출판사, 2006년] 도설한방의약대사전 (圖說漢方醫藥大事典)[중국 진존인, 1982년, 1~4권, 도서출판 송악, 1988년 번역 발행] 도해의학용어사전 (圖解醫學用語事典)[김병수 감수, 한국사전연구사, 1995년] 도해향약(생약)대사전 (圖解鄕藥(生藥)大事典)[정보섭 신민교, 영림사, 1990년] 동물성동약 [고순구, 라선규 심사, 의학과학출판사, 1992년] 동물약품해설 [이장락,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년] 동약법제 (東藥法製)[이순동, 1979년,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도의학자료실 재편집, 여강, 1993년] 동약사참고집(東藥師參考集) [장인순 저, 신득실 편집, "동약일군참고집 1978년...

상식적인 본초지식(1)

일반인이 알아보는 한방상식(1) 최근에 활발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웰빙관련 장르중에서 가장 이슈가되는 분야중의 하나는 본초학이 아닌가 생각되어서 이부분을 상식적인 수준에서 알아본다.   먼저 본초라는 말은 약이되는 여러 식물과 광물 그리고 동물까지를 통털어서 말하는 학문이지만 실제로 식물의 뿌리를 근본으로하는 본과 풀을말하는 초를 합해서 본초라고 한다. 즉 본초 그 글자만 말한다면 초근목피(草根木皮)라고 할수 있으며 여기에 열매나 과실까지를 포함한다. 고전으로 근간이 되는 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과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본다.   대표적인 본초학  서적 중국 맥류 황제내경,신농본초경,본초경집주,개보상정본초,가우보조신농본초,경사증류비급본초,증류본초,본초품회정요,본초강목,식물명실도고,중화인민공화국약전,중약지,중약대사전,약물학대사전,전국중초약회편,등.   우리나라 본초서적 백제신집방,신라법사방,신라법사비밀방,삼화자향약방,구선활인심방,향약구급방,향약채취월령,향약집성방,향약간이방,의방유취,동의보감,침구경험방,방약합편,동의수세보원,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