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컴퓨터인 게시물 표시

크롬캐스트 설치::OmnisLog

이미지
크롬캐스트(ChromeCast)무데포 설치::OmnisLog 구글 크롬캐스트( ChromeCast)리뷰 . Google ChromeCast setup 스마트폰이나 데스크톱 컴퓨터를 무선 WiFi로 TV를 연결해서 볼수 있다면 참 편리한게 많다. 이런용도로 나온 제품들은 가격도 다르고 블랜드도 다르고 종류도 많지만 블랜드인지도나 가격면에서 개인적으로 맘에 들어 크롬캐스트로 결정했다. 무데포로 덤빈 크롬캐스트 설치기이다. PANTECH | IM-A860K | 1.1mm | ISO-0 | 2014:05:30 11:45:32 크롬캐스트(ChromeCast)무데포 설치 구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대충 크롬캐스트에 대한 개념은 알아봤기대문에 볼것도 없이 그냥 마구 같은 단자에 꼽았다. 설치라고 할 것도 없다. TV뒤에 나와있는 HDMI단자에 크롬캐스트를 꼽고 준비된  USB전원 케이블을 연결했다. AC전원 아답터는 왼지 24시간 켜 있을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USB전원으로 선택한것 뿐이다. 민박스 안에 보통의 USB메모리스틱보다 조금 큰 크롬캐스트1개, 전원 연결 USB 케이블 1개, USB 어댑터 1개가 전부이다. 캐스트와 TV는 바로 연결해도 되지만 동봉된 연장아답터를 버릴수도 없고 어디에 두면 분명 필요할때 있어버릴것임으로 하드웨어의 발열도 맊아줄겸 캐스트와 사이에 끼워 연장 했다. PANTECH | IM-A860K | 1.1mm | ISO-0 | 2014:05:30 11:46:42 크롬캐스트(ChromeCast)무데포 설치 PANTECH | IM-A860K | 1.1mm | ISO-0 | 2014:05:30 15:36:56 크롬캐스트(ChromeCast)무데포 설치 PANTECH | IM-A860K | 1.1mm | ISO-0 | 2014:05:30 12:28:54 Google ChromeCast setup 일단 전원이 들어오면 TV화면에 소스 입력이 외부 HDMI로 잡...

Defrag(조각모음)의 원리와 효과

이미지
조각모음-Defrag의 원리와 효과 :  컴퓨터 사용 초보 상식 / 컴퓨터 속도가 느려 질 때 컴퓨터 하드디스크 조각 모음(PC Defrag)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를 깔면 기본적으로 탑재된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원활한 컴퓨터 사용을 위해서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조각 모음을 모르는 분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알고 가끔 실행도 할 것입니다. 실행하는 목적은 컴퓨터가 조금이라도 빨라지기를 기대해서 일 것입니다. 대부분 빨라지는 효과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면 조각 모음은 원래 이름 Defrag 또는 defragment 입니다. 조각난 것을 복구한다는 말인데요. 번역은 처음부터 MS에서 한글화 할 때 조각 모음으로 한 것입니다. 그러면 조각 모음을 하면 왜 컴퓨터가 빨라지는지 이유를 알아봅니다. 컴퓨터의 주 기록장치는 하드디스크인데 여기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은 자성(磁性)을 이용해서 자력으로 물리적 회전 원판에 자기를 정밀하게 입히는 것입니다. 그런데 하드디스크가 비어 있을 때는 하드디스크에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헤드가 돌아가는 원반 위에 차례대로 뿌려서 기록하면 되고 이렇게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읽어 낼 때도 회전하는 원반에서 헤드는 쭉 한꺼번에 읽어 내면 됩니다. 그런데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면 할수록 데이터를 지우기도 하고 다시 쓰기도 하게 됩니다. 그럴 때는 헤드가 빈자리를 찾아서 아무 데나 기록을 하게 됩니다. 이 데이터를 읽어 내려고 할 때는 헤드가 한번 쭉 읽어서는 안 되겠네요. 여기저기 끊어져서 흩어진 데이터를 읽기 위해서는 헤드가 여러 번 왔다 갔다 해야 끊어진 데이터를 찾아서 다 읽어 낼 것입니다. 답이 나오네요. 하드디스크 원반이 한번 휙 돌 때 헤드가 한 번에 읽을 때와 여기저기 흩어진 데이터를 여러 번 읽어야 데이터를 완성 할 수 있는 것과는 시간적인 차이가 크게 납니다. 사실 이 시간이라는 것이 수십 분의 1초 또는 수백 분...

한글이 안써질때-한글키 먹통::블로그 에쎄이

이미지
한글이 안써질때-한글키 먹통::블로그 에쎄이 갑자기 한글키가 안먹힐때  컴퓨터를 쓰다보면 별 히안한 문제를 만납니다. 원인이나 이유류를 정확히 파악하긴 힘들지만 여러가지 악성코드나 또는 이를 제거하는과정에서 관련 시스템드라이버가 날아간것일것입니다. 아니면 알수없는 무슨 툴바나 확장프로그램 또는 앱 등이 충돌하는 경우등 다영한 원인과 이유가 있겠지만,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연구하는 사람아니라면 이런걸 피곤하게 원인을 찾으려고 할 필요는 없습니다. 가끔 어떤 사람은 몇일을 매달려서 원인을 찾아내고야 마는 사람도 있긴하지만.. 하여튼 결론은  윈도에서 실핼명령 ctfmon.exe를 실행해 주면됩니다. 배치파일로 하든 급한대로 실행하든 실행 창에서   ctfmon 을 한번 실행하면됩니다. CMD에서  ctfmon.exe 해도 되구요.. Ctfmon ,  ctfmon.exe ,  한글문제 ,  한글이 안써질때 ,  한글키 먹통 ,  한글키가 안먹힐때 ,  한글키문제 ,  한글팁

TV(모니터) 크기 인치 상식::블로그 에쎄이

이미지
TV(모니터) 크기 인치 상식::블로그 에쎄이 텔레비젼(모니터) 인치별 가로 세로 크기 알아보기 먼저 텔레비젼(TV)크기는 인치로 말하는데, 그 인치는 화면의 대각선 사이즈(크기)를 말 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가로:세로의 길이를 짐작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그리고 가로대 세로의 비율이 4:3이었다가 16:9 또는 16:100 이렇게 바뀌고 있음으로 더욱 헷갈립니다. 대형TV 형태로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42인치 부터 알아 봅니다. 사실 수학적으로 다 아는 피다고라스 정리를 하면 되지만 보통은 거기까지 안해보는데, 어쩔수 없이 계산 한번 해 봅니다 . 단 가로:세로 비율은 16:9 화면이라는 가정하에 계산합니다. 42인치자승= 가로자승+(9*가로/16)자승 이지요. 세로자승은= 42자승*16자승/(16자승+9자승). 세로=9/16가로 답은 인치이구요 최종적으로 가로,세로에 2.54를 곱하면 되겠네요. TV(모니터) 가로:세로 크기(길이)--외곽 케이스에 가려저 보이지 않는 부분도 포함 됩니다. 아래 가로-세로 크기는 몇Cm 씩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케이스 크기나 숨겨진 사이즈나 또는 인치를표시할때 예를들어서 실제 42인치가 이니지만 42인치형이라고 하는 모델등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대충 참고하는 정도로 활용하기 바랍니다. 50인치 모니터(TV)의 화면 크기       42인치 모니터(TV)의 화면 크기 가로 길이  92.98cm. 세로 길이  52.30cm. 가로 길이 110.69cm, 세로 길이   62.26cm. 63인치 모니터(TV)의 화면 크기         따라서 63인치 모니터의 화면은 가로 길이 139.47cm. 세로 길이  78.45cm. ...

USB 레디부스트(ReadyBoost)::OmnisLog

이미지
대용량 USB로 레디부스트(ReadyBoost)이용하기::OmnisLog 컴퓨터를 빠르게 쌩쌩 돌리기. 대용량 USB로 레디부스트(ReadyBoost)이용하기 요새는 용량대비 메모리 가격이 많이 하락해서 대용량급도 이전에 비하면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메모리 블랜드에 따라서는 상당한 가격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빠르게하기 위해서 레디부스터-ReadyBooster로 사용 할 것이기 때문에 큰 신뢰도를 보이는 보다 고가블랜드를 사용 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USB가 아니라도 멀티리더기를 USB에 꽂을수 있다면 어떤 메모리카드도 상관없읍니다. 하드디스크를 돌려서 데이터를 읽어 내는 속도보다는 메모리에서 캐시로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내는것이 훨신 빠르기 때문에 어떤 메모리나 상관없이 USB에 꽂아서 읽을수만 있다면 가능합니다. 여기서 컴이 빨라지는 속도는 프래시메모리의 구동속도와 상관있지요. 예를 들어서 3클래스급 메모리와 10 클래스급 메모리는 데이터 로딩속도가 상당하게 차이가 있기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컴퓨터는 캐시메모리가 2기가에서 4기가 정도로 장착되어 있지만 이보다 훨신 많은 메모리를 USB를 통해서 캐시로 할당할수 있도록 제공해 주면 컴퓨터는 점점 빠르게 체감됨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컴이 많이 빨라지기는 하지만 컴이 CPU에서 처리하는 연산속도가 빨라지는것이 아니고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읽기속도를 캐시메모리에서 더 많이 빨리 읽어오게 하기 위한 방법임으로 체감속도가 발라지는 것이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64기가 대용량 USB로 레디부스트(ReadyBoost)를 빌드해 봅니다. 대용량 USB로 레디부스터(ReadyBooster)로 이용하는 모습을 몇장 캡처해서 올립니다. 새 USB나 사용중인 USB나 일단은 레디부스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맷을 해야 합니다. 반드시 그림처럼 NTFS방식으로 포맷해야 합니다. 윈도우7 기준 포맷한후...

스마트폰 밧테리수명

이미지
스마트폰 밧테리수명 : 휴대폰 밧테리가 빨리 소모된다. 스마트폰 맛테리 수명이 얼마나 되는지는 모른다. 대충 2년에서 3년쯤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유는 통신사에서 주로 2년약정이나 3년약정을 하는데 약정기간도 채우지 못할만큼 수명이 짧지는 않을것이라는 추측으로 밧테리수명을 2년에서 3년이라고 막연하게 짐작한것 뿐이다. 나는 약정기간이 지나고 몇년씩 써 본적이 없어서 얼마나 오래 가는지 직접 경험해 보지는 못했다.그런데 이번에는 사용 할만큼 사용할 생각이기 때문에 밧테리를 하나더 구입한다. 3년전에 구입한 베가넘버6를 지금도 사용하는데 이만한 크기의 스마트폰으로서 좀 빵빵한 성능을 가진게 나올때 까지 사용할 요량인데 요새 갑자기 밧테리가 12시간에서 15시간정도로 엔딩한다. 좀 사용하면 6시간정도로 끝나는 놈도 있다. 두개를 가지고 항상 하나는 충전하고 있어서 밧테리 때문에 폰사용을 못하는것은 아니지만, 귀찮아서 오늘 새걸로 AS센터에 가서 하나 구입했다. 기존 사용하는것과 구별하기 위해서 검은색갈로 선택했다. 밧테리 수명이 딱 약정기간 만큼 동안만 견디게 만든 것이라면 이것도 좋은 기술이라는 생각이 든다. 밧테리 수명연장을 하기 위해서는 충전이 다된후에는 충전기에서 빼 놓으라는 말을 들은적이 있지만 귀찮아서 충전기에 꼽고 다음 교체 할때까지 그대로 두고 사용해 왔다. 소프트웨어 문제도 좀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빵빵한 메모리만 믿고 어풀을 엄청 깔고 다니는데도 원인이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어제 새걸 교체하고 하룻밤을 새우고도 좀 남아 있는것을 보면 역시 밧테리 수명은 딱 3년정도라는것을 느낄수 있다. 아래 사진처럼 밧테리 교체시기를 나타내는 색갈스티커가 빨간색이 된놈도 있고 약간 분홍색이 된것도 있는데 다 성능이 이상있다는 표시이다. 새로 구입한것 하고 비교해보면 확연히 다르다. 선명한 하얀색갈을 띄는것을 볼 수 있다. SONY | ILCA-77M2 | 1/30sec | F/4....

시스템볼륨 인포메이션-System Volume Information

이미지
시스템볼륨 인포메이션-System Volume Information : 시스템볼륨 인포메이션 -System Volume Information 폴더를 보자 윈도 7 유저로서 가끔 C드라이버 용량에 신경쓰는 편입니다. C드라이버 용량이 넉넉하지 않으면 컴퓨터가 버벅거릴 수 도 있습니다. 쓸데없이 많은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것이 없는가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TreeSizeFree.exe 로 검사해 봅니다. MS OS 중에서도 윈7은 데스크탑 완성도가 높은 운영체제입니다. 다만  MS 윈7은 숨은 기능이나 고급사용자를 위한 기능들이 많이 있습니다. 몰라도 되지만 알면 더 좋은 결과를 가저옵니다. 윈도 7의 복구 기능은 시스템의 각각의 드라이브마다 시스템 볼륨 인포메이션이라 폴더가 있습니다 . 이 폴더에는 시스템 복구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있는데 이 파일이 용량이 경장히 커서 드라이브를 상당히 많이 차지 합니다. 시스템 복구 공간은 윈도가 깔린 드라이브에만 두면 좋지만 만약 용량이 빠듯하다면 이도 삭제해서 공간을 확보 할수도 있습니다. 또 루트드라이브의 파일만 남기고 나머지 드라이브는 용량을 차지하지 않게 설정을 바꾸면 항상 사라지는 하드디스크 용량을 아낄 수 있습니다.  [시작] →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으로 들어가 [시스템 보호]를 클릭한 후에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구성]을 클릭합니다.  일단은 복원 기능을 끈 다음 아래부분의  [삭제] 버튼을 눌러서 파일들을 삭제하면 됩니다. 복원기능을 살리고 싶으면 끈 복원기능을 사용하면 됩니다. 또 [디스크 공간 사용]의 [최대 용량]을 가르키는 슬라이드 바를 마우스로 왼쪽으로 끌어 놓거나 또는 좀더  최소화하거나 아예 0바이트로 만들면 시스템 복구 기능이 하드디스크 용량을 잡아먹지 않가나 복구를 위한 파일이 생성 되지 않습니다. 시스템 볼륨 인포메이션 폴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