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5월 13, 2012의 게시물 표시

꽃기린을 보세요 블로그 에쎄이

꽃기린을 보세요 꽃기린을 보세요 꽃기린(철해당) 꽃기린(麒麟: Euphorbia milii):쌍떡잎식물-쥐손이풀목-대극과-목본상-다육식물 꽃말:고난의깊이를간직한, 붉은것은보혈,흰꽃은성결,노란꽃은영광. 예수꽃이라불림. 가시가예수의머리에쓰여진가시면류관을상징. 가시면류관[Crown of Thorns], [학명(學名)] Euphorbia milii Des Moul ,  기원: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식물인 철해당(鐵海棠: Euphorbia milii Ch. des Moulins.)의 뿌리와 줄기임. 꽃이 솟아 오른 모양이 기린을 닮았다고하여 꽃기린이라고 한다.   아프리카 남동쪽 인도양에 있는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섬나라 마다가스카르 원산의 관상용 식물로, 원산지인 열대지방에서는 높이 2m 정도까지 자라나 관상용은 보통 높이 30∼50cm이다. 덩굴처럼 자라며 줄기는 어두운 갈색으로 가지를 많이 친다. 잎 밑부분에는 턱잎이 변해서 된 2cm 정도의 가시가 1쌍 있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시간이 지나면 떨어진다. 봄부터 가을까지 작은 깔때기 모양의 붉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꽃잎은 없고 포가 변해서 꽃잎처럼 보인다. 포의 빛깔은 노란색 또는 붉은색이다. 주로 화분에 심어 가꾸며 번식은 5∼6월에 꺾꽂이로 한다. 줄기를 자르면 흰 즙이 나오는데 피부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장갑을 끼고 만지는 것이 안전하다. 온도는 10℃ 이상으로 유지한다. 꽃기린의 다른 이름은 철해당[鐵海棠: 회편(滙編),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가시면류관[Crown of Thorns], Euphorbia milii Des Moul[학명(學名)], 꽃기린 등으로 부른다. 꽃기린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96면 165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철해당(鐵海棠) 기원: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식물인 철해당(鐵海棠: Euphorbia milii Ch....

게발선인장 (Epiphyllum) 알아보기 블로그 에쎄이

게발선인장 (Epiphyllum) 알아보기 블로그 에쎄이 게발선인장 (Epiphyllum) 알아보기 식물명 : 게발선인장 (Epiphyllum) 학명 : Schlumbergera truncata  분류 : 속씨식물, 선인장과  서식지 :  숲속이나 정글  - 원래 고산지대임 분포지역 : 남아메리카  원산지 : 브라질 크기 : 30cm정도 특징 : 크리스마스선인장,게발선인장,덴마크캑터스,크리스마스 캑터스, 유사종:가재발선인장 꽃말: 불타는 사랑 게의 발과 비슷하다고 해서 게발선인장이라고 이름이 붙혀졌다. 꽃 : 2 ~ 3월에 붉은 자주색 꽃이 마디끝에 한송이씩 핀다. 게발처럼 되어 마디가 있고 편평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겨울에 개화하여 분화로서 많이 생산된다. 가제모양의 선인장은 마디가 게발처럼 둥굴지 않고 예각으로 되었는데 크리스마스 칵테스라고 한다. 소개 : 2~3월에 붉은색 자주꽃이 마디끝에 한송이 핀다  용도 :관상용,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흡수  재배법 : 지나치게 직사광선을 받게 되면 줄기가 누렇게 되므로, 여름철 차광 정도는 6~8월 사이에 30~50% 정도차광이 요구된다. 기후, 토양조건기후조건) 주간온도 20~25℃, 야간온도15~20℃ 가 알맞다.  주간온도가 15℃ 이하 또는 30℃ 이상이거나 야간 온도가10℃ 이하 또는 25℃ 이상에서는 꽃눈형성이 저해된다. 토양조건: 용토는 보수성과 통기성이있어야 한다. 피트모스(부엽토)와 모래를 1:1 . 게발 선인장은 저온기와 저습기라는 두번의 휴식기가 있어야한다. 개화후 2개월 동안 월1~2회 정도 물주며 휴식기를 갖고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물과 비료를 적게주며 휴식기를 가져야 꽃이 잘 핀다..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생장기에는 충분히 수분을 유지해주며 휴식기에는 건조한 상태로 유지해야한다. 휴식기에 수분과다는 뿌리가 썩는다. 주로 3~5마디를 줄기를 꺾꽂이한다.다른 선인...

다목적렌즈 탐론18-200++++블로그 에쎄이

다목적렌즈 탐론18-200 다목적 렌즈 탐론 18-200 알아보기 생활렌즈 또는 하나로렌즈 ,여행용렌즈 ,다목적렌즈로 불리는 편리한 렌즈의 화각대를 최대한 커버하면서 비교적 저렵한 렌즈를 찾아본다. 기 본렌즈로서의 화각대는 15mm,17mm,18mm,30mm 정도에서 시작되어 적어도 200mm,250mm 전후를 커버하는 줌렌즈라면 일상의 거의 모든 장르를 렌즈교환없이 편하게 쓸수 있다고 생각되며 실제로 이 화각대를 겨냥한 렌즈들은 여러 메이커에서 집중적으로 개발하여 제품도 많다. 이글은 제품메이커와 어떤 관련이 없는 개인적인 리뷰일 뿐입니다. QCAM-AA | 4.3mm | 2012:05:17 11:05:11 NIKON D200 | Manual | Spot | 1/4sec | F/14.0 | 50.0mm | ISO-200 | 2006:03:18 13:30:27 250mm이상의 줌 성능을 가진다면 이른바 조류탐사용으로 분류되는 고성능 망원군에서 알아보기로 하고 여기서는 그 목록을 배제한다. 아주 먼거리가 아니라면 사실 200~250mm로도 생활권의 망원범위는 충분히 커버된다고 생각한다. 고화소의 바디 성능때문에 결과물의 크롭으로도 충분히 커버되는 실정이기도 하다. 이 화각대의 렌즈중에는 고가 또는 초 고가대의 밝은 렌즈도 있지만 크롭바디의 범용DSLR용을 인기있는 대중적인 렌즈 탐론18-200을 알아본다. 여 행용 다목적렌즈라고 이름붙여진데는 산행이나 먼거리여행때는 가급적 가벼운 여행물을 구성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렌즈를 가지고다니는 불편함을 해소하기에 좋기 때문에 붙여진것일뿐이며 짧은 화각대의 교환용으로 만든 여러개의 단일렌즈에비해서 상대적으로 어둡기는 하지만 최근의 렌즈기술과 바디의 놀라운 전자적인 성능으로 인해서 과거처럼 샤속을 확보하지 못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사용자의 테크닉에 따라서 선예도나 심도를 구성하는데 무리가 없는 범용렌즈로서과거 한때는 헝그리렌즈라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지금은 전혀 그렇지...

노심용해-멜트다운(meltdown) 블로그 에쎄이

노심용해-멜트다운(meltdown) 노심용해-멜트다운(meltdown) 일본 원전사고 때문에 국민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원자력발전의 우려하는 사고에 대해서 알아본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일어나는 가장 우려스런 사고는 방사능이 유출되는것이며 그 누출되는 량이 얼마나 많은가에 따라 아주 안좋은 경우도 있으며 그 방사능에 노출당한 사람은 노출 정도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기치않은 후유증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방사능이 유출되거나 누출 되는 사고의 원인은 주로 노심용융(爐心鎔融), 노심용해(爐心溶解) 또는 원자로용해(原子爐鎔解),meltdown로 불리는 즉 노심이 녹아내리는 증상 때문이라고 한다. 아래의 그림처럼 원자로는 기본적으로 핵연료를 태우는 속도를 인간이 기술적으로 컨트롤해서 급격한 핵분열을 맊고 서서히 필요한 속도로 반응하게하며 이때 나오는 막강한 열을 이용해서 증기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씨스템인것이다. 단 원자로용 핵연료의 밀도는 4.xx%대의 낮은 순도로서 순도 90%이상의 위험한곳에 사용되는 종류와는 다르다. 이그림은 후쿠시마원전의 사실 그림이 아닙니다. 일정한 규격의 크기를 유지하고 정밀한 량의 연료를 제아하여 태운는 과정에서 연료봉이 필요이상으로 증가하는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수단으로,  해수 즉 냉각수를 이용하는데 외적이거나 내부적인 어떤 원인에 의해서 냉각수를 공급 할수 없을때에 연료봉을 둘러싼 온도가 증가하고 그때 수증기의 앞력이 높아져서 유출되는 오염된 증기로 인한 일차적인 사고를 낼수도 있으며,상승하는 온도를 견디지 못한 연료봉이 녹기 시작하는것을 멜트다운 이라고 한다. Melt down 은 원자로의 노심(爐心)이 녹는 중대 사고를 말하는것인데, 핵분열 반응을 인위적으로 컨트롤이 불가능 할 때 원자로 자체는 고온에 의해서 녹을것이며 결국에는 원자로 격납용기(格納容器)까지 뚫고 나와 큰 에너지가 노출된다. 일단 컨트롤 불가능한 노심 융해가 발생하게 된다면  연료가 내는 큰 열에너지는 ...

꽃기린을 보세요 블로그 에쎄이

꽃기린을 보세요  꽃기린을 보세요 꽃기린(철해당) 꽃기린(麒麟: Euphorbia milii):쌍떡잎식물-쥐손이풀목-대극과-목본상-다육식물 꽃말:고난의깊이를간직한, 붉은것은보혈,흰꽃은성결,노란꽃은영광. 예수꽃이라불림. 가시가예수의머리에쓰여진가시면류관을상징. 가시면류관[Crown of Thorns], [학명(學名)] Euphorbia milii Des Moul ,  기원: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식물인 철해당(鐵海棠: Euphorbia milii Ch. des Moulins.)의 뿌리와 줄기임. 꽃이 솟아 오른 모양이 기린을 닮았다고하여 꽃기린이라고 한다.   아프리카 남동쪽 인도양에 있는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섬나라 마다가스카르 원산의 관상용 식물로, 원산지인 열대지방에서는 높이 2m 정도까지 자라나 관상용은 보통 높이 30∼50cm이다. 덩굴처럼 자라며 줄기는 어두운 갈색으로 가지를 많이 친다. 잎 밑부분에는 턱잎이 변해서 된 2cm 정도의 가시가 1쌍 있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시간이 지나면 떨어진다. 봄부터 가을까지 작은 깔때기 모양의 붉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꽃잎은 없고 포가 변해서 꽃잎처럼 보인다. 포의 빛깔은 노란색 또는 붉은색이다. 주로 화분에 심어 가꾸며 번식은 5∼6월에 꺾꽂이로 한다. 줄기를 자르면 흰 즙이 나오는데 피부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장갑을 끼고 만지는 것이 안전하다. 온도는 10℃ 이상으로 유지한다. 꽃기린의 다른 이름은 철해당[鐵海棠: 회편(滙編),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가시면류관[Crown of Thorns], Euphorbia milii Des Moul[학명(學名)], 꽃기린 등으로 부른다. 꽃기린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96면 165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철해당(鐵海棠) 기원: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식물인 철해당(鐵海棠: Euphorbia mi...

휴대폰의 세대란 블로그 에쎄이

휴대폰의 세대란 블로그 에쎄이 휴대폰의 세대 알아보기 1G,2G,3G,4G는 무었인가? 최근 휴대폰시장이 스마트폰이 자리잡으면서 4세대폰 LTE 등 생소한 용어가 많이 등장한다. 일반인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휴대폰의 세대간 차이를 알아본다. G는 영어의 세대를 표시하는 Generation의 첫 자이다. bps : 1초간 전달되는 데이터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용어, MKS규격으로 1000씩 상승하며 초기 비트퍼초를 나타내며 bps(비피에스)이다. mbps(메가비피에스)는  1백만/초, Gbps(기가비피에스) 10억비트/초 이다. 1세대휴대폰,1G 1세대 휴대폰이 나왔을 때는 이 자체가 경이적인 물건이었음으로 몇세대라고는 말하지 않았으며 통신방식이나 차세대를 말할필요도 없었지만, 이 핸드폰은 단순이 모바일로 전화를 할 수 있는 폰일뿐이며 기술적인 방식도 구형 무전기나 워키토키와 다를바 없는 아나로그 통신 방식이었다. 그리고 통신속도를 말하지만 이 전화 기능만을 목적으로 할 때는 음성전용 통신에 지장없다면 속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다. 이 폰으로는 음성통화 이외에는 어떠한 문자나 영상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은 없다. 통신속도 대략 10Kbps 정도. 2세대휴대폰, 2G  이 때 부터는 휴대폰으로 음성통화 이외에 문자 서비스를 실현하고 간단한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이 부가 되었다. 문자 데이터를 탑재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통신속도가 중요한 통신품질로 대두되기 시작한다. 데이터를 사용자가 취급할 수 있게 됨으로서 통신의 대역폭이나 통신속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며 이러한 신호 처리기술은 완전 디지털로 전환한다. 이때부터 우리나라가 모바일폰의 기술국가로 등장하는데, 세계각국이 보유하는 통신기술은 저마다 독특하며 서로가 표준화 되기를 바라고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지만 가장 우수한 통신기술만이 인정받게 된다. 이때 공식적으로 인정된 통신기술은 크게 두가지로 집약되는데 유럽쪽은 G...

자생약초 질경이(차전초) 블로그 에쎄이

자생약초 질경이(차전초)  자생약초 질경이(차전초) 제철에 먹는 약용식물 여름철 자생약초 질경이의 고찰. 나물로 먹을수있고 약용식물로서 질경이 만한 것이 없다고 할만큼 질경이의 효능은 좋다고 한다. 질경이는 길가나 언덕 이나 산야의 입구 등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수 있는 식물이다. 길가에 밟히면서 크는 식물이지만 식용으로 할때는 풀밭의 부드러운것이 좋다. 최근에는 텃밭에 심어 건강식품으로 먹기위해 가꾸는 분들도 있다. 질경이의 식물 요약 과명 :  Plantaginaceae (질경이과).    속명:Plantago (질경이속). 학명:Plantago asiatica L. 영어명:Asiatic Plantain. 일본어표기:オオバコ.       북한표기:질경이  중국:車前草 동명~이명:길경,배부장이,배합조개,빠부쟁이,빠뿌쟁이,빼부장,톱니질경이,차전초,길짱구 DSLR-A300 | Center Weighted Average | 1/13sec | 50mm | ISO-100 | 2010:06:13 15:16:34 DSLR-A300 | Center Weighted Average | 1/8sec | 40mm | ISO-400 | 2010:06:13 16:34:39 특징및 모양: 질경이는 줄기가 없고 잎이 뿌리에서 바로 나와 비스듬히 땅바닥으로 퍼지며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싸안고 자란다. 잎의 모양은 타원형이나 계란형으로 맥이 나란히 뻗으며 잎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개화기는 6∼8월이지만 지역에 따라 조금식 차이가 있고 꼬은 백색으로 수상꽃차례에 밀생하고 포는 꽃받침보다 짧고 대가 없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화관이 깔때기형으로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익으면 옆으로 갈라져서 열리고 6∼8개의 검은색 종자가 들어 있다. 동북 아시아 한국·일본·사할린·타이완·중국·시베리아 동부·말레이시아 등에 분포한다...

아침을 기다리는 사람들 블로그 에쎄이

아침을 기다리는 사람들 블로그 에쎄이 아침을 기다리는 사람들 태양은 언제나 새벽에 떠 오른다. 그래도 태양이 떠 오르는것은 항상 볼때마다 설례인다. 그 마음 때문인지 바닷가의 여명은 경이롭다. 오늘도 여명은 많은 사람들의 기다림속에 천천이 열린다. 그리고 하루가 희망과함께 시작된다. DSLR-A300 | Normal program | Center-weighted average | 1/8sec | F/4.0 | 35.0mm | ISO-400 | 2012:05:06 05:10:01 DSLR-A300 | Aperture priority | Center-weighted average | 1/100sec | F/5.6 | 70.0mm | ISO-100 | 2012:05:06 05:36:55 DSLR-A300 | Normal program | Center-weighted average | 1/10sec | F/4.5 | 55.0mm | ISO-400 | 2012:05:06 05:18:27

소금물 가그린-민간 감기 잡기 블로그 에쎄이

소금물 가그린-민간 감기 잡기  소금물의 놀라운 효능 갑자기 무리하거나 피곤하거나 감기기가 있거나 황사같은 날씨에 외출하고 돌아 왔다면 , 소금물로 가그린 하세요. 병원엘간다고 금방 낫지않는게 감기구요.. 감기 한번 안걸린 분은 없을 것 입니다. 감기는 초장에 박살내는게 좋고, 병원에 가거나 안가거나 시간이 가면 났지만 병원에 가는게 고통을 덜어주기 때문에 병원엘 갑니다. 믿거나 말거나 아침에 자고나서 목이 아프거나 감기기가 느껴집니까? 소금물을 약간 찬기가 느껴질정도로만 식수에 풀어서 몇번만 가그린 하시고 마지막 가그린한 물은 삼키세요.. 목이 아픈증상은 금방 사라집니다. 또 코로 들이킬수 있는분은 양쪽 코 구멍으로 교대로 들이키고 입으로 뱉어 내시면 더욱 초장에 잡는데 효과가 있읍니다. 너무 짜게 소금물을 만든다고 효과가 좋은건 아닙니다. 적당히 짜게느낄정도로만 하면 됩니다. 소금물의 과학적인 성분이나 효능에 대한 지식은 없지만, 적어도 탁월한 효과는 보장합니다. 믿거나 말거나  밎저봐야 본전인 소금물 한번 해 보세요.. 오늘 감기기가 좀 있어서 고금물 가그린하면서 공유하고 싶어서 이 글을 씁니다. 작은 생수병에 소금물을 미리 만들어 놓고 수시로 하면 편합니다. 의학적인 지식은 없으며 왜 효과가 있는지는 모르지만 오랬동안해 오고있는 방법입니다 .  블로그 에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