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월 24, 2019의 게시물 표시

동래읍성 북문,북장대 야경::OmnisLog

동래읍성 북문과 북장대 야경사진::OmnisLog 동래성엔 인생문 북문 서문 북장대 서장대 동장대로 이루어진 총합6개의 성루와 장대로 이루어진 건물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북문을 좋아해서 북장대와 함께 야간사진을 담아 여기에 올립니다.   출처:  https://omnislog.com/614  [OmnisLog]

이더넷 로컬설정::OmnisLog

이더넷 로컬영역 설정::OmnisLog Realtek pcie gbe family controller 설정 Realtek PCIe gbe family controller 드라이버를 깔고 정상동작을 하드래도 인터넷이 연결안되는경우에 대한 안내입니다. 윈도우7에서 이더넷 드라이버를 제대로 깔고 콘트롤러가 정상적으로 작동 되고있는데도 불구하고 인터넷 연결이 안되어서 애를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알고보면 의외로 사소한 설정이 원인일경우입니다.   네트워크및 공유센터를 열고 로컬영역연결에서 속성을 열고 진단을 해도 이상없다고 나오지만 인터넷이 안될경우입니다. 출처:  https://omnislog.com/1098  [OmnisLog]

지리산 설경 ::대한민국 명산 도전

눈덮인 지리산 풍경::대한민국 명산 도전 지리산 설경은 너무나 아름다웠습니다. 설꽃 만발했을때 천왕봉 등산하며 담아온 사진입니다. 하늘아래 첫절 법계사도 극락선경이 따로없고 장터목가는 준령의 설국은 말로 다 할 수없을만큼 아름답고 딴세상처럼 황홀했습니다. 산행하는 사람마다 발걸음 멈추고 설경 감상하느라고 산행시간 늦을까 걱정하는 리더의 말을 흘려듣습니다. 정말 대단한 설경이었습니다. 지난 등산 사진을 챙기면서 오래전 그때를 상기하며 사진몇장 올립니다.. 출처:  https://fmt100.tistory.com/98  [대한민국 명산 도전 ]

문수사와 문수산(文殊山).::대한민국 명산 도전

자동차로 가는 문수사와 문수산(文殊山).::대한민국 명산 도전 등산로는 아래에 대충그린 지도처럼 다방면에서 오르는 등산로가있어 쉽게 접근할수있으며 특히 자동차로도 문수사가지 올라갈수가있습니다. 자동차로는 두군데가있으며 문수사입구 삼거리에서 문수산전망대까지 간다면 상당한 경사로를 등산해서 문수사까지 갈수있습니다. 또 관음저수지로 가는 길은 상당히 난이도있는 차도이지만 문수사 입구까지 갈 수가있습니다. 문수사에서 문수산 정상까지는 약 1Km정도로서 쉽게 정상을 밟을 수가있습니다. 노약자의 경우 문수사를 참배하고 왕복 2Km정도를 산행하면 되는 좋은 등산 코스입니다. 출처:  https://fmt100.tistory.com/140  [대한민국 명산 도전 ]

지네 발은 몇개나 될까요?::OmnisLog

발이 많은 지네 발은 몇개나 될까요?::OmnisLog 지네 발이 많아서 지네발이 몇개냐고 묻는다면 정답은 없습니다. 지네는 마디마다 한쌍씩 발을 가지고있는데 지네가 오래 살수록 마디는 점점 늘어나기때문입니다. 태어나서 아기지네가 최초에 몇개의 발로 시작하는지는 모르지만 보통 작은지네는 15마디로서 30개의 발을 가지고있고 최고 177쌍 354개의 발을 가진 지네도 발견됬다고 합니다. 필자가 산중 사찰의 돌계단에서 찍은 지네는 발이 20쌍 40개이니까 좀 큰 지네입니다. 아래 지네사진은 계단을 빠르게 통과하기 직전 재빨리 찍은것입니다. 출처:  https://omnislog.com/1290  [OmnisLog]

간월산 설산 등산후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낙동정맥 간월산 설산 등산후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산행기록 적설량 임의느낌 약 5Cm 산행거리 약 11Km 산행시간 휴식및 중식 포함 약 5시간 산행코스:영남알프스 복합 웰컴센터-홍류폭포 간월산 삼거리-홍류폭포-홍류폭포 간월산 삼거리-계곡다리-정씨산소-임도-꼬부랑길-간월재휴게소-간월산-리턴 역순서-원점회귀  #낙동정맥  출처:  https://fmt100.tistory.com/130  [대한민국 명산 도전 ]

떠나려는 을숙도의 철새::OmnisLog

마지막 남은 을숙도의 철새::OmnisLog 떠나려는 철새들의 휴식 봄이 완전이 오기전에 월동한 철새들은 주로 시베리아로 돌아갑니다. 오늘 철새들이 완전히 떠나기 전에 관찰하기위해서 을숙도를 방문했습니다. 미세먼지가 극심한 날이지만 을숙도를 한바퀴돌면서 탐조대앞에 모여있는 한무리의 고니떼를 관찰하면서 몇장 담았습니다. 아마도 이번 ㅊ철새탐방이 올겨울 마지막이 될것같습니다.   을숙도 철새 도래지에는 대부분의 철새들은 떠나고 몸집이 큰 고니종류만 한무리 남아있었습니다. 크게 움직임도 없고 대부분의 철새들은 먼 거리를 날아가기위한 준비를 하는것처럼 휴식하고있었네요. 몇마리는 가끔 먹이활도도 하지만 대부분의 철새들은 웅크리고 잠을자는지 쉬고있었습니다. 철새를 오랫동안 관찰한 사람의 말에의하면 떠날때 쯤되면 원래 하루종일 쉬고있다고 합니다. 에너지를 비축한단 말이지요. 몇차에걸쳐서 한무리씩 떠나고 아마도 마지막으로 떠날 무리들인것 같습니다. 출처:  https://omnislog.com/1387  [OmnisLog]

낙동강 하구와 신기루 같은 도시 풍경::OmnisLog

낙동강 하구와 신기루 같은 도시 풍경::OmnisLog 낙동강 하구를 지나가며 담은 풍경. 미세먼지가 전국적으로 심하다고 하는 오전 낙동강 하구도 예외는 아닙니다. 강변로를 지나다가 하구언 좀 못가서 쉼터에서 잠간 풍경을 감상하며 담은 사진입니다. 바다같이 너른 낙동강 하구는 언제 봐도 넉넉한 풍경이며 아직은 좀 쌀쌀하지만 시원한 강바람 맞으며 잠간씩 쉬다가는 나무데크 쉼터는 정말 조망좋은 명당입니다. 미세먼지 때문에 시야가 아주 형편없지만 사진몇장 담았습니다. 쨍 한날 보는 하구언과 오늘같이 흐린날 보는 하구언은 좀 다른 느낌을 줍니다. 사실 오늘도 구름낀 날은 아닙니다. 낮게깔린 미세먼지가 하늘을 가려서 뿌옇게 보이는것입니다. 하구언을 건너가서 멀리 바라보는 도시가 신기루같이 보입니다. 이 많은 스모그가 바다를 낀 부산에서 자동차나 공장에서 생산된것많은 분명 아닙니다. 부산에는 사실 하늘을 덮을 만큼 연기를 뿜어내는 공장도 없는것은 다 아는 사실입니다. 출처:  https://omnislog.com/1386  [OmnisLog]

탐론 18-200 :블로그 에세이

탐론 18-200 테스팅::블로그 에세이 렌즈탐방 편한 나들이 렌즈 탐론 18-200 TAMRON DiII AF 18-200mm F/3.5-6.3XR LD ASPHERICAL(IF)MACRO 다목적으로 편하게 쓸수있는 렌즈가 필요했다. 나들이 할때 구질구질하게 챙기지 않아도 되는 하나로 렌즈가 필요하드라.. 탐론 18-200 이 가격대비 성능이 적당하다고들 하는 이야기만 믿고 주문해서 오늘 받았다. 바디에 장착하고 실내의 이것저것을 파인더로 내다보며 몇곳에 셔터를 눌렀다. 결과물은 대충 맘에 든다. 62mm 라는 대물렌즈의 지름 때문인진 몰라도 어두운곳에서 샤속이 그런대로 나온다. 실외 여행용이라고 하지만 소문처럼 실내에서 샤속이 안나올정도로 어둡진 않다. 시간날때 밖에서 담아봐야 자세히 알겠지만 실내에서 몇장담은걸 EXIF를 넣기위해 포토스케이프로 불러 들였다 저정한거 말고는 무보정 그대로 올려본다. 이 렌즈를 구입할 생각이 있거나 관심있는분들에게 참고가 되길 바라는 맘이다.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볼수 있습니다. 출처:  https://dramatique.tistory.com/1006  [블로그 에세이]

와이파이존 비밀번호

와이파이존 비밀번호 모음::블로그 에세이 WiFi 디폴트 비밀번호 모음 무선공유기나 와이파이 송출기는 기본적으로 비밀번호가 있어야 로긴되지만, 대부분은  공장출고 상태의 비번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와이파이 지역을 들어갈때면 한번은 비번을 요구 받게 되는데 참고 하기 위해 온라인에서 모아 봤습니다. 출처:  https://dramatique.tistory.com/1432  [블로그 에세이]

미니트맨 Ⅲ - LGM-30G Minuteman III.::OmnisLog

지상무기의 종결자 미니트맨 Ⅲ - LGM-30G Minuteman III.::OmnisLog 미국 ICBM  대륙간탄도미사일 미니트맨 Ⅲ (LGM-30G Minuteman III). 지상무기의 종결자라고 불리는 미국의 유일한 ICBM 미니트맨3를 알아봅니다. 지상무기의 종결자라고 할만큼 초강력 파괴력을 가진 미니트맨은 핵탄두를 3개에서 7개까지 장착하는데 3개 장착미니트맨이 도시3개를 동시에 초토화하는 위력을 가진다고 합니다. 미국이 가진 핵탄두 소형화기술로 볼때 필요에 따라서 7개이상도 장착 가능하리란 추측입니다. 핵미사일 탄두가 목표물 상공에 도달하면 다 탄두로 쪼개져서 분리된 개별 핵탄두는 제각기 목표물을 향해서 마하23의 어마어마한 속도로 타격하는 능력을 가진것으로 볼때 방어가 불가능 하다고 봅니다. 출처:  https://omnislog.com/1032  [OmnisLog]

페이스북 방문자

페이스북 방문자확인::OmnisLog 페북    Facebook  방문자 확인 프로그램을 돌려 봤는데 생각밖으로 많은 분들이 내 글을 읽는지 보는진 모르지만 방문하고 있네요. http://방문자확인.com에서 방금 확인한 캡쳐입니다. 페북 유저라면 한번 확인해 보면 재미있을것 같군요. 실제로 대화를 하거나 추천을 받지 않는다고 해서 포스팅을 보지않는 것은 아닐것입니다. 대화형 포스팅이나 정보성 포스팅, 또는 링크형 포스팅, 광고형 포스팅 등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좋아요나 추천이나 댓글 등이 없드라도 방문자는 많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현재 이 블로그  http://omnislog.com/ 의 포스팅을 주로 링크로 올리고 있는데 방문자중 많은비중이 페북으로 부터 유입되는것을 보면 반응은 없지만 많은 분들이 읽고 있다고 볼수가 있습니다. 조금전에 캡쳐한 방문자  이미지입니다.  아침시간인데도 이미 3만명을 넘었네요. 어떻게 집게 되는것인지 정확한 내용이 없어서 모르지만 좀 많은숫자로 기록되고 있네요. 다만 페북에서 열린숫자만 카운된다는것은 확실하구요 링크따라서 블로그까지 연결되는 경우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는것은 알 수가 있습니다. 출처:  https://omnislog.com/1018  [OmnisLog]

백양산 최단거리 산행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낙동정맥 백양산 최단거리 산행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백양산 최단 거리 산행기 전국적인 한파가 부산에도 영향이 미쳐서 예사롭지 않은 추위지만 웅크리고 있지 않으려고 부산근교산 백양산을 올랐습니다. 낙동정맥 29-1구간 백양산 인증사진도 찍을겸.. 백양산도 코스에 따라서는 만만찮은 산이지만 가장 짧은 코스인 선암사 출발 원점회귀로 간단히 마쳤습니다. 날씨가 상당히 춥지만, 선암사 주차장엔 등산복 차림의 사람들이 몇몇 보입니다. 출처:  https://fmt100.tistory.com/109  [대한민국 명산 도전 ]

광양 백운산(白雲山) 등산 후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100대 명산 광양 백운산(白雲山) 등산 후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사진과 함께쓰는 100대명산 광양 백운산(白 雲山) 등산 후기 부산에는 비가 오는 어제 2018년 9월 29일 토요일 계획대로 백운산 등산을 무사히 마친 후기를 남깁니다. 광양 백운산은 산림청선정 100대명산이며 블랙야크 명산100에 속하는 대한민국 명산입니다. 진주를 지나면서 비는 그치고 광양을 지나 논실에 도착했을 때는 언제 비가 왔는지 모를 흐린 날씨였습니다. 참고로 논실은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답곡리 논실마을입니다. 구름 낀 날씨이지만 등산하기엔 아주 좋은 날씨이며 비가 올 것 같지도 않았습니다. 부산에는 온종일 비가 왔다고 하지만 일기가 이렇게 차이가 나는군요. 백운산 등산 코스는 병암을 기점으로 많이 다니지만 좀 더 편한 코스를 생각하고 논실코스로 산행했습니다. 자차로 출발할 때는 논실을 지나서 한재까지 간다면 상당히 편한 등산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송어양식장 주차장에 주차하고 더는 한재로 진입하진 않았습니다. 송어양식장으로 많이 알려진 지점이지만 현재 업소의 간판은 제일송어산장으로 되어있습니다. 내비게이터로 찾는다면 내비게이션 블랜드에 따라서 잘 모르지만 논실 또는 제일송어산장으로 검색이 가능하리라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병암을 출발해서 논실로 하산한다면 급경사 하산을 회피할 수 있어서 무릎 관절이 약한 분께 추천 할 코스라고 생각합니다. 출처:  https://fmt100.tistory.com/48  [대한민국 명산 도전 ]

USB나 SD카드 포맷에러

USB나 SD카드 포맷 할 수없을때::OmnisLog USB SD카드 포맷 안될때 초기화 방법 USB나 SD카드를 사용하다 보면 포맷을 할 수없을 때가있습니다. USB나 SD카드 포맷 불가 "포맷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라고 할 때 처리방법입니다. SD카드나 USB 등 메모리를 살리는 방법은 몇가지 되지만 윈도우 명령어로 깔끔하게 초기화 시키는 방법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코맨트콤에서 Diskpart라는 디스크 메모리 호출 명령어를 이용합니다. 아래 진행 캡쳐이미지에서 보여주는 순서대로 실행하면 대부분 저장장치는 초기화됩니다. 이 방법은 포맷을 목적으로 하는것이기때문에 데이터는 삭제되는것입니다. 출처:  https://omnislog.com/1368  [OmnisLog]

매화산(梅花山) 남산제일봉 등산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합천 매화산(梅花山) 남산제일봉 등산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합천 매화산(梅花山) 남산제일봉 등산기 합천 가야산 줄기에 포함된 매화산(梅花山)은 주봉이 남산제일봉입니다. 남산제일봉은 정상석 기준 해발1,010M의 산으로서 해인사를 품은 가야산 줄기로서 병풍처럼 둘러쳐진 산군들 중에서 남쪽 부분에 위치한 경남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에 있는 아름다운 산입니다. 가야산 국립공원에 속하는 매화산은 북쪽 부분 가야산에 비하면 규모는 작지만 산세가 뛰어나게 아름답고 기이한 암군들의 기상이 화려한 산입니다. 출처:  https://fmt100.tistory.com/86  [대한민국 명산 도전 ]

영남알프스 영축산(靈鷲山) 등산후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낙동정맥 영남알프스 영축산(靈鷲山) 등산후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영축산(靈鷲山) 난코스 비로암 원점회귀 낙동정맥이 몰운대를 출발해서 부산을 지나고 정족산에서 양산벌을 훌쩍 건너뛰어 영남알프스로 진입하며 만나는 영축산(靈鷲山)은 해발 1,081미터로서 1000m가넘는 산을 처음 만나게 됩니다. 행정구역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과 원동면에 걸쳐 있는 산이지만 영남 알프스를 시작하는 가장 남부의 산입니다. 해발 높이 1,081미터로서 높이 뿐만아니라 신불산 바로 아래에서 같은 능선으로 이어져 북상하는 위치로서 울산광역시와 양산시 경계지역에 머물고있습니다. 영축산(靈鷲山) 은 이명으로 영취산 또는 취서산(鷲棲山)으로 불리지만 때로는 축서산으로도 불리는 이름이 많은 산입니디. 출처:  https://fmt100.tistory.com/138?category=791765  [대한민국 명산 도전 ]

고헌산(高獻山) 등산후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낙동정맥 고헌산(高獻山) 등산후기.::대한민국 명산 도전 낙동정맥 고헌산(高獻山) 등산후기.   고헌산(高獻山)은 낙동정맥의 백미 영남알프스로 들어가는 초입의 큰 산입니다. 울산시와  울주군의 진산이며 옛이름은 고언산 또는 고언뫼이었습니다 울산의 명산이며 진산인 고헌산 (高獻山) 1,033m의 해발 높이이며 좌우로 두개의 봉오리를 합해서 3봉이 우뚝솟아있습니다. 백두대간이 남하다가 한반도의 등뼈처럼 동해쪽으로 남하하는 낙동정맥이  울산 언양에서 우뚝 솟았습니다. 고헌산(高獻山)산은 남하하는 산 줄기에서 백운산(892m), 상운산(1,117m),가지산(1,241m)으로 길게 뻗어있습니다.  이산의 주위에는 가지산, 문복산, 백운산, 능동산, 간월산등이 어울어져서 열남앞프스의 동부를 장식하며 이 산에서 대부분 조망이 가능한 위치에 있습니다. 고헌산(高獻山) 북쪽 으로는 동장천이 발원하였으며 하류에서 밀양강을 이룹니다. 남쪽으로는 삼정천이 발원하였으며 하류에서 태화강을 이룹니다.  고헌산(高獻山)은 대표적인 토산(土山)이기때문에 산 전체가 악산이 아니며 따라서 등산로에 너덜같은 돌길이 없습니다. 산정상부에서 시야가 좋은 날엔 울산과 언양의 도시를 내려다 볼 수있으며 가지산, 운문령, 백운산등의 주위산을 바로 볼 수있습니다. 출처:  https://fmt100.tistory.com/136  [대한민국 명산 도전 ]

블야 명산100 목록.

블랙야크 명산100 목록입니다. 명산100 하시는 분들 참 많습니다. 아래 엑셀파일로 올립니다. 프린트 하실 분 받으시면 됩니다. 2018년 8월 다운로드입니다. 참고  산림청 100대명산 바로가기  :  https://fmt100.tistory.com/71 출처:  https://fmt100.tistory.com/36  [대한민국 명산 도전 ]

100대명산 도전단 가입하기

블랙야크 명산 100 도전단 방법 산행을 하다 보면 정상석에서 빨간 타올이나 검은색 타올 또는 작은 마크를 들고 사진을 신중하게 찍는 모습을 볼수있습니다. 그 분들은 블랙야크 명산100도전단입니다.  명산100도전단 또는 블랙야크100대명산 도전하는 사람들인데요 스포츠 블랜드 블랙야크에서 전국의 명산중에서 100개를 명산의 여러 조건으로 엄선해서 산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도전하는 행사입니다. 산림청에서 정한 100대명산과 거의 동일한 산명이지만 약20좌 정도가 산림청선정 100대명산과 블랙야크선정 100대명산이 다른것을 볼 수있습니다. 사실 명산의 조건은 객관성이 떨어지기때문에 왜 명산인지 굳이 따질 필요는 없지만 가 보면 하나같이 명산인 이유를 알것같이 좋은 산이고 깊은 역사와 스토리가 서려있다는것을 알게 됩니다. 출처:  https://fmt100.tistory.com/137?category=772980  [대한민국 명산 도전 ]

영알 고헌산(高獻山) 등산후기.

낙동정맥 고헌산(高獻山) 등산후기.   고헌산(高獻山)은 낙동정맥의 백미 영남알프스로 들어가는 초입의 큰 산입니다. 울산시와  울주군의 진산이며 옛이름은 고언산 또는 고언뫼이었습니다 울산의 명산이며 진산인 고헌산 (高獻山) 1,033m의 해발 높이이며 좌우로 두개의 봉오리를 합해서 3봉이 우뚝솟아있습니다. 백두대간이 남하다가 한반도의 등뼈처럼 동해쪽으로 남하하는 낙동정맥이  울산 언양에서 우뚝 솟았습니다. 고헌산(高獻山)산은 남하하는 산 줄기에서 백운산(892m), 상운산(1,117m),가지산(1,241m)으로 길게 뻗어있습니다.  이산의 주위에는 가지산, 문복산, 백운산, 능동산, 간월산등이 어울어져서 열남앞프스의 동부를 장식하며 이 산에서 대부분 조망이 가능한 위치에 있습니다. 고헌산(高獻山) 북쪽 으로는 동장천이 발원하였으며 하류에서 밀양강을 이룹니다. 남쪽으로는 삼정천이 발원하였으며 하류에서 태화강을 이룹니다.  고헌산(高獻山)은 대표적인 토산(土山)이기때문에 산 전체가 악산이 아니며 따라서 등산로에 너덜같은 돌길이 없습니다. 산정상부에서 시야가 좋은 날엔 울산과 언양의 도시를 내려다 볼 수있으며 가지산, 운문령, 백운산등의 주위산을 바로 볼 수잇습니다. 옛날 언양지방에서 가뭄이 들때 기우제를 지내는곳이 고헌산(高獻山)이라고합니다. 산을 오르는 길은 힘들지만 능선에 올라서면 대체로 부드러운 산경이며 토산답게 암봉이 없습니다. 출처:  https://fmt100.tistory.com/136  [대한민국 명산 도전 ]

낙동정맥 영축산 난이도 높은 코스

영축산(靈鷲山) 난코스 비로암 원점회귀 낙동정맥이 몰운대를 출발해서 부산을 지나고 정족산에서 양산벌을 훌쩍 건너뛰어 영남알프스로 진입하며 만나는 영축산(靈鷲山)은 해발 1,081미터로서 1000m가넘는 산을 처음 만나게 됩니다. 행정구역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과 원동면에 걸쳐 있는 산이지만 영남 알프스를 시작하는 가장 남부의 산입니다. 해발 높이 1,081미터로서 높이 뿐만아니라 신불산 바로 아래에서 같은 능선으로 이어져 북상하는 위치로서 울산광역시와 양산시 경계지역에 머물고있습니다. 영축산(靈鷲山) 은 이명으로 영취산 또는 취서산(鷲棲山)으로 불리지만 때로는 축서산으로도 불리는 이름이 많은 산입니디. 영축산은 북상하며 신불산 간월산 가지산등 걸출한 영남알프스의 산군들을 함께 연결하고있습니다. 영축산의 이름은 석가모니가 법화경을 설법한 고대 인도의 마가다국에 있던 산 이름에서 따 온것으로 알려지고있습니다. 한자 "취"자는 독수리 "취"자인데 불교에서는 '축'으로 발음하는 것이 보편적임으로 단순히 한자발음때문에 영축산으로 불린것으로도 볼 수있습니다. 영축산(靈鷲山) 자락에는 큰 가람 영축총림 통도사(通度寺)가 개산사로 자리하고 있으며 통도사 산내 수많은 암자들 중에서 경관이 아름다운 비로암에서 들머리와 날머리로 산행한 후기를 씁니다. 출처:  https://fmt100.tistory.com/138  [대한민국 명산 도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