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월 3, 2013의 게시물 표시

탐론 18-200

다목적 렌즈 탐론 18-200 알아보기 생활렌즈 또는 하나로렌즈 ,여행용렌즈 ,다목적렌즈로 불리는 편리한 렌즈의 화각대를 최대한 커버하면서 비교적 저렵한 렌즈를 찾아본다. 기본렌즈로서의 화각대는 15mm,17mm,18mm,30mm 정도에서 시작되어 적어도 200mm,250mm 전후를 커버하는 줌렌즈라면 일상의 거의 모든 장르를 렌즈교환없이 편하게 쓸수 있다고 생각되며 실제로 이 화각대를 겨냥한 렌즈들은 여러 메이커에서 집중적으로 개발하여 제품도 많다. 이글은 제품메이커와 어떤 관련이 없는 개인적인 리뷰일 뿐입니다. QCAM-AA | 4.3mm | 2012:05:17 11:05:11 NIKON D200 | Manual | Spot | 1/4sec | F/14.0 | 50.0mm | ISO-200 | 2006:03:18 13:30:27 250mm이상의 줌 성능을 가진다면 이른바 조류탐사용으로 분류되는 고성능 망원군에서 알아보기로 하고 여기서는 그 목록을 배제한다.  아주 먼거리가 아니라면 사실 200~250mm로도 생활권의 망원범위는 충분히 커버된다고 생각한다. 고화소의 바디 성능때문에 결과물의 크롭으로도 충분히 커버되는 실정이기도 하다. 이 화각대의 렌즈중에는 고가 또는 초 고가대의 밝은 렌즈도 있지만 크롭바디의 범용DSLR용을 인기있는 대중적인 렌즈 탐론18-200을 알아본다. 여행용 다목적렌즈라고 이름붙여진데는 산행이나 먼거리여행때는 가급적 가벼운 여행물을 구성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렌즈를 가지고다니는 불편함을 해소하기에 좋기 때문에 붙여진것일뿐이며 짧은 화각대의 교환용으로 만든 여러개의 단일렌즈에비해서 상대적으로 어둡기는 하지만 최근의 렌즈기술과 바디의 놀라운 전자적인 성능으로 인해서 과거처럼 샤속을 확보하지 못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사용자의 테크닉에 따라서 선예도나 심도를 구성하는데 무리가 없는 범용렌즈로서과거 한때는 헝그리렌즈라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핀홀안경의 효과를 알고 싶다.

핀홀안경의 효과를 알고 싶습니다. 요즘 인터넷에서 핀홀안경에 대한 글들을 자주 보는데, 관심이 있어서 아래와 같이 다음지식에 질문 올리며 여기 블로그에도 올립니다. 답변머니 100 답변주소: http://k.daum.net/qna/view.html?confirm=true&qid=4ucud 이 질문의 답변을 핀홀안경 판매자는 하지 마세요. 저는 노안이며 좌우 시력이 다르고 한쪽눈은 난시가 조금 있습니다. 마춤 안경으로 컴퓨터 하는데 지장없지만 ,장시간 쓰다가 벗고 밖에 나갈때  잠간동안 시력을 리셋 합니다. 곧바로 걸으면 어지럽지만 약 2~3분만 먼곳 처다보면 정상 돌아 옵니다. 야간에는 편광 먼거리용 마춤 안경  쓰면 운전하는데 지장없습니다. 이런 본인이 핀홀안경으로 훈련해서 안경 벗거나 시력회복 할 수 있는지 알고 십습니다.

엑시노스5 옥타

삼성이 말하는 엑시노스5 옥타 에 대해서 알아본다. Samsung 8-core Exynos 5 Octa mobile processor 새로운 기술 단어로 빅리틀(big.LITTLE)이라고 소개하는 집적회로 설계 기술은 영국의 ARM사가 개발한 모바일 프로세서에 적용되는 저전력소비 고효율연산 기술이다. 이 설계 기술이 적용된 엑시노스5 옥타는 전력소모량이 최대 70%나 줄어드는 반면 성능은 높아 진다고 한다. 즉 빅리틀(big.LITTLE)이란 ? 큰데이터 처리로서 많은 전력이 필요할땐 A-15 코어 4개가 동작하고 적은 데이터 처리를 할땐 적은 소비전력인 저전력 코어텍스 A-7 코어 4개 가 동작하게 하는 기술이다. 삼성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2013 인터내셔널 CES의 에서 엑시노스5 옥타에 대해 소개한바 있다. 엑시노스5 옥타는 영국 ARM의 빅리틀 설계가 적용된 최초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P)라고. 따라서 배터리 는 기기의 성능이 높아져도 지속시간은 더 길어 진다는 이론이다. 다시말해서 ARM 빅리틀 설계 구조로 된 엑시노스5 옥타를 탑재 한다면 데이터처리를 많이 하는 큰 작업(빅)에서는 고성능 코어가 작동하고, 상대적으로 데이터처리를 적게 하는 작은 작업(리틀)에서는 저전력 코어가 연산을 하게 된다는 것 이다. 엑시노스5 옥타에 탑재된 코어는 ARM 고성능 코어텍스 A-15 코어 4개와  저전력 코어텍스 A-7 코어 4개를 포함해서 총 8개의 코어로 구성되 있다. 실제로 스마트기기로 웹서핑을 한다면 코어텍스-A7이 동작 할 것이며, 게임같은 고성능 작업을 할 때는 코어텍스 A15가 연산을 한다. 체감속도는 아직 모르지만 이 기술은 혁신적인 것 이라고 한다. 다만 이 기술이 최대한 발휘 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OS)의 커널부분에서 복잡한 컨트롤을 할수 있는 스케쥴링 기술이 선행 개발될때 가능하다. ARM이나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연합해 관련 DVFS 드라이버...

라돈 알아보기

라돈이란 무었이며 어떻게 존재하는가 ? 라돈은 지각의 암석 중에 들어있는 우라늄(238U)이 몇 단계의 방사성붕괴 과정을 거친 후 생성되는 무색·무취·무미의 기체로 지구상 어디에나 존재하는 자연방사능 물질입니다. 방사선은 암석 등에서 나오는 지각방사선, 별에서부터 오는 우주방사선, 공기, 음식 등에서 발생하는 자연방사선과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방사선, 항암치료나 X-ray촬영 시 발생하는 인공방사선이 있습니다. 사람이 연간 노출되는 방사선의 85%는 자연방사선에 의한 것이고, 라돈에 의해 노출되는 방사선은 연간 노출되는 방사선의 약 43%입니다. 라돈 농도는 베크렐(Bq)이나 피코큐리(pCi)로 표현합니다. 베크렐은 방사성물질 국제표준 단위이며, 1초에 방사선 1개가 핵에서 한번 방출되는 것, 즉 1초 동안 하나의 방사성 붕괴가 일어나는 양을 나타냅니다. 공기 중 라돈의 농도는 Bq/㎥이나 pCi/L로 표시하며, 1 pCi/L 는 37 Bq/㎥ 에 해당하는 농도입니다. 즉 토양이나 암석 등 자연계의 여러 물질중에 함유된 우라늄이나 또는 토륨이 연속적으로 붕괴하면 라듐이되고 이 라듐이 붕괴할 때 생성되는 원소로서 불활성 기체 형태의 무색, 무미, 무취의 방사성 가스가 '라돈'이다. 라듐은 토양이나 콘크리트, 석고보드, 석면슬레이트 등 건축자재 중에도 존재한다. 라듐에서 나오는 라돈가스는 직접 방사되거나 지중에서 발생하여 실내의 틈새로 침투할수 있다.   라돈은 지반에서 많이 방출하지만 건축자재, 상수, 취사용 천연가스 등을 통해서도 실내로 들어온다. 그러나 약 85%이상은 지각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으로 아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옥외환경에서보다 환기의 정도가 낮은 주택 및 건물 내에서 라돈의 축적으로 인해 라돈의 농도가 대개 수십 배, 많게는 수백 배 이상 높게 나타난다. 특히, 환기상태가 저조한 지하공간이나 주택에서 라돈의 농도는 더욱 높으며 이로 인해 지하철 역사에서의 라...

복사방지 우클릭방지 해제

복사방지 우클릭방지 해제 씨 브라우저 (See 브라우저) 최신 버전: 3.4 (04/02/2012) 복사방지나 마우스우클릭방지 등 웹페이지의 정보를 긁어 올수 없도록 조치해 놓은 곳을 카피하는데 전혀 지장없는 브라우저가 있습니다. 예를 든다면 어떤 블로그나 까페에서 스크립트소스를 공개하면서 거의 한페이지나 되는 것들을 일일이 보고 카피 하라는 것 은 무리입니다. 그러나 그 까페나 블로그는 우클릭방지나 카피방지가 동작한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이럴때는 씨브라우저로 간단히 해결하면 됩니다. 씨 브라우저 (See 브라우저) 제한 없이 자유롭게 웹 사이트를 즐기는 간편한 방법!   최신 버전: 3.4 (04/02/2012) 'C 브라우저' 는 Spell의 차기 버전으로, 펌 방지를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입니다. 펌 방지란, 바로 블로그나 홈페이지 등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이나 드래그 앤 드롭 등을 방지하여, 사용자들이 다른 사람의 글을 인용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 입니다. * 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용 및 복사된 내용에 대한 저작권 문제는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씨 브라우저 (See 브라우저) 최신 버전: 3.4  다운로드

전기장판 전자파 알고쓰면 걱정끝

@겨울철 필수품 전기장판 전자파 알고쓰면 걱정끝. ---------------------------------------------------------------------------------- ◇ 전기장판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0.7~71.1 mG(미리가우스)로 장시간 사용시 주의가 필요 ◇ 조절기 온도를 낮추면 전자파 발생이 절반 이하로 줄어 ◇ 특히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인체 면역체계가 약하기 때문에 전자파 노출에 대한 주의가 요구 ※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낮은 수준(3∼4 mG)의 전자파도 장시간(10년이상) 노출 시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배 높아진다고 주의 권고 ---------------------------------------------------------------------------------- 전기장판을 사용시 온도를 낮추면 전자파가 덜 발생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에 시판되는 전기장판 7종에 대한 전자파 방출현황 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11년 9월부터 2012년 9월까지 1년간 생활환경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노출 저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됐다. 사결과에 따르면, 전자파는 전기장판 조절기 '강' 조건에서 0.7〜71.1 mG, '중' 조건에서 0.7〜65.2 mG, '약' 조건에서 0.7〜23.3 mG로 나타났다. 즉, 조절기 온도를 낮추면 전자파 발생이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는 것이다. 또한, 전기장판 표면에서 0.7〜71.1mG, 표면으로부터 10cm 떨어지면 0.7〜7.1mG로 나타나 최대 90%까지 감소했다. 조사 대상 중 '전자기장 환경인증(EMF Mark)※'을 받은 제품의 경우에는 전자파가 인증규격(2mG) 미만인 0.7〜0.8mG으로 낮게 나타나 인증제품을 사용하면 전자파 노출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했다. 전자기장 환경인증을 받은 제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