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5월 6, 2012의 게시물 표시

자생 약용 식물 - 맥문동 블로그 에쎄이

자생 약용 식물 - 맥문동  전신의 맥을 뚫게 하는 약초 - 맥문동 한국의 약용 자생산야초 탐구 몸속의 소통을 좋게하는 약초. ヤブラン ( ユリ科の多年草 ) 。 麥門冬 Liriope platyphylla 이 계시물은 일반인이 공부하는 자세로 여기저기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생약초에 관심있는 보통 사람들을 위한 정보 공유 차원에서 쓰여진 것이며 한의학적인 전문적 내용이 아님을 밝히며 본 내용을 임의 배포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외떡잎식물로서 백합목 백합과의 상록 다년생 풀이다. 맥문동이라는 한자어는 그 뿌리가 穬麥처럼 흙속을 뻗어 나는데서 유래한 한자어에 유래한 이름이다. 백합과의 다년생초본. 연한 자주색꽃이 피며 이름없는 난초처럼 길가에 흔히 볼수 있다. 4철 언제나  푸른잎을 가지고 있어 공원이나 화단에 관상용으로 많이 애용된다.  주로 그늘에 잘 자란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무성하게 자란다.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되는데 줄기는 곧게 서서 난초같은 풀섶위로 높이 20∼50cm 우뚝 피어 오른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선형(線形)이며 자생난초같지만 끛이 둥글고 잋은 뚜껍다.  길이 30∼50cm, 나비 8∼12mm이고 밑부분이 잎집처럼 된다. DSLR-A300 | Aperture priority | Center-weighted average | 1/320sec | F/6.3 | 35.0mm | ISO-400 | 2010:01:07 14:30:07 꽃은 5∼6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8∼12cm이며 작은꽃가지에 마디가 있다. 씨방상위이며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일찍 과피(果皮)가 벗겨지므로 종자가 노출되며 자흑색(紫黑色)이다. 열매는 녹색에서 자주색으로 다시 흑색으로 변한다. 개맥문동(L.spicata)은 본종과 비슷하나 잎맥의 ...

부산에서 여수 가는 교통정보 블로그 에쎄이

부산에서 여수 가는 교통정보 부산에서 여수(엑스포)가는 교통편 정리 여수엑스포를 가보려고 가능한 교통정보를 찾아 봤다. 버스는 부산 서부터미널에서 출발할수 있으며 동부 터미널에서도 출발가능하며 우등,고속,일반버스가 있다. 기차는 특별열차가 있으며 기존KTX나 경전선 완행도 있다. 지도를 보면 알수 있드시 부산에서는 무조건 경유지로 진주-하동-순천을 거처야 한다. 다른곳으로 갈수도 있지만 시간과 거리가 더 소요될뿐이다. 그럼으로 여수 직행이 아니드래도 순천까지 갈수 있는 교통편을 모색하면 되리라고 본다. 여수는 여수엑스포역 외에 여천역이 있다. 여러가지 이유로 여수역과 여천역이 공존하지만 여천역이 주력이 되리고 본다. 사상 서부 시외버스 터미널 출발 고속버스 정보 노선:부산(사상)-여천-여수(우등28석) 첫차-막차: 07:30 20:50  소요시간:약2시간30분 운행시간표: 07:30 09:30 11:00 13:00 14:30 15:40 16:40 17:30 19:00 20:50 요금:18100원  금호고속: 전남  여천공용버스터미널  여수시 선원동 52-5  (061)682-4666 노포동 서부시외버스 터미널 출발 여수 (하동,광양)운행정보 부산-하동-광양-여수 경유지 현황 광양행 동광양, 광양 여수행(완행) 마산.순천,석창,여천 순천,여수행은 마산을 경유 운행됩니다 노선명 운행시간 운임 및 소요시간 광양행 (동광양 경유) 09:50 13:50 15:50 20:40 동광양(11,600원.  2:30) 광   양(12,600원.  3:00) 순   천(13,100원.  4:00) 석   창(16,300원.  4:10) 여   천(16,500원. ...

다음작가상-사진공모전 블로그 에쎄이

다음작가상-사진공모전  다음작가상 - 사진공모전 다음작가상'은 박건희문화재단이 2002년에 처음으로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젊은 작가 창작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사진을 매체로 작업하는 젊은 작가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작업계획서와 과거 작업의 포트폴리오를 심사하여 1인의 작가를 선정하며, 선정된 작가는 제출한 작업계획서에 따른 작업 결과를 다음 해에 전시와 작품집으로 발표하게 됩니다. 뜻 있는 젊은 작가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공모전 개요 ● 대 상 사진을 매체로 작업하는 만 40세 이하의 작가 ● 지원내용 1인을 선정하여 총 5000만원 규모로 지원 - 지원금 : 3000만원 (작품 및 작품집 제작) - 전시(익년) 및 기타비용 : 2000만원 ● 제출 자료 - 작업계획서 : 새로운 작업의 개념 및 계획서 (다음작가상 수상시 지원금으로 할 작업의 계획서) - 포트폴리오 : 두가지 테마 ( 하나의 테마 당 15매 내외의 프린트)                 16"x 20" 이내의 프린트로 마트없이 제출 - 지원서 :  www.geonhi.com에서     바로다운-지원서     - 기타 : 작업 노트, 전시 팜플렛 및 작품집 등 첨부가능 ● 접수 기간 및 접수처 - 매년 5월 중 공모 - 서울 종로구 수송동 58 두산위브파빌리온 614호 ● 심사 및 결과 발표 -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수상자 선정     1차 심사 : 포트폴리오와 작업계획서를 심사하여 0명 선정(심사 통과자는 개별통지함)     2차 심사 : 1차 심사에서 선정된 작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최종 수상자 선정 - 심사결과는 재단 홈페이지에 발표 - 시상식은 제* 회 ‘다음작가상’ 전시 오프닝시 개최 ● 제출 자료 반출...

암이 발병하는 일반적인 원인 블로그 에쎄이

암이 발병하는 일반적인 원인  일반적인 암의 원인 아직도 많은 암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기는 하나 여러 역학연구를 통한 발암요인과 암발생 간의 인과 세계보건기구의 산하기구인 국제암연구소(IARC) 및 미국 국립암협회지에서 밝힌 암의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원 인 국제암연구소  1) 미국 국립암협회지  2) 흡연 15 ~ 30% 30% 만성 감염 10 ~ 25% 10% 음식 30% 35% 직업 5% 4% 유전 5% - 생식요인 및 호르몬 5% 7% 음주 3% 3% 환경오염 3% 2% 방사선 3% 3% 2) 세계보건기구의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es 책자에 소개된 내용임(Doll R, Peto R, The Cause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 of cancer in the United Status today.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981, 66:1191-1308) 위의 표에서 보듯이 암의 원인의 70% 정도는 흡연, 만성감염(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음식, 음주, 방사선 및 화학물질 노출등의 환경요인이 주이며 유전적인 원인이 5% 인 것을 감안하면 위험요인을 피하고 생활양식의 변화를 통해서 암의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한 사람에게 생긴 암의 원인에 대해 " 00때문이다 " 라고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암은 무엇을 잘못했기 때문에 걸리는 질병은 아닙니다. 우리나라에서 암발생의 2/3를 차지하는 주요 호발암의 일반적인 원인(Contributing Factors)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주요 호발암의 일반적인  원인 국내 주요 호발암의 일반적인  원인 위암...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에 대한 글(옮김) 블로그 에쎄이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에 대한 글(옮김)  국립암센터 보도자료에 올라온 오메가3에 대한 글[옮김] 오메거3는 중 장년층에서 성인병 예방 특히 심혈관질환의 예방으로 애용하고 있다고 생각되며 본인도 오랫동안 복용하고 있었는데 , 우연히 국립암센터에 보도자료로 올라온 글을 보게되어 개인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참고할만한 내용으로 생각해서 여기 옮겨 봅니다. 원본출처: http://campusmon.jobkorea.co.kr/Contest/CT_HostURL.asp?no=26310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 심혈관질환 예방 못해” 2012.04.16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 심혈관질환 예방 못해” -국립암센터 연구진, 국제학술지에 결과 발표-   ○ 건강기능식품 뿐만 아니라 약으로도 처방되고 있는 오메 가-3 지방산 보충제 복용이 심혈관질환의 병력이 있는 사람들의 심혈관질환 발생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립암센터 발암성연구과 명승권(가정의학과 전문의) 과장 연구팀은 1995년 이후 2010년까지 국제 학회지에 발표된 오메가-3 지방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