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6월 5, 2011의 게시물 표시

메타블로그 리스트-블로그홍보를위한++++DRAMATIQUE ESSAY

메타블로그 리스트-블로그홍보를위한++++DRAMATIQUE ESSAY 개인 블로그를 하는 사람들이 방문자 증가를 위해서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는 도구로서 가장 효과가 입증되는 수단은 아마도 메타블로그에 등록하거나 북마킹으로 새글을 소개하는 것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생각날 때마다 등록하기도 힘들고 귀찮기도 하기 때문에 날받아서 한꺼번에 등록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그래서 국내에있는 기존 메타블로그나 새로 탄생하는 소시얼 북마킹이 가능한 메타 블로그의 리스트를 찾아보고 대충 그 결과를 공유 하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자동 수집기능을 제공하는 많은 수집사이트가 있으며 효과가 입증 되는대로 추가로 업데이트 할것입니다. 메타블로그나 소시얼북마킹에 대한 이론이나 내용 구조에 대한 것은 생략하며 아래 리스트의 순서도 무작위에 가깝기 때문에 순서에 대한 개념은 무시하시기 바라며 당사자인 운영자께서 보시드라도 무작위 순서로 쓰는 것임을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올블로그 http://www.allblog.net/ 블로그코리아 http://www.blogkorea.net/ 이올린 http://eolin.com/ 블로그플러스 http://blogplus.net/ 쇼핑저널 버즈 http://www.ebuzz.co.kr/ 오픈블로그 http://kr.openblog.com/ 도깨비뉴스 http://www.dkbnews.com/ 프리로그 http://freelog.net/ 넘즈넷 http://numz.net/ 블러그나와 http://www.blognawa.com/ 믹시 http://www.mixsh.com/ 온20 http://on20.net/ 블로그스페이스 http://blogspace.paran.com/ K모바일뉴스 http://kmobile.co.kr/index.asp 블로그스포츠 http://blogsports.sportsseoul.com/ 프로토스타일 http://protostyle.sportstoto.co.kr/ 뉴스로그 http://www.newslog.com/front/ 풀뿌...

백양산 나들이++++DRAMATIQUE ESSAY

백양산 나들이++++DRAMATIQUE ESSAY 부산 백양산 나들이 Dynamic BUSAN 참고:현재 언론과 산악인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와 그 근본이 타당하지만 국가 공식입장으로 채택 공고 되지 않았으며 아직은 우리의 어린이와 후학들이 산맥이론으로 공부하고 있기때문에 산맥과 대간을 헷갈려서는 안될것이다. 백양산은 행정구역으로는 부산시 부산진구에 위치하고 있지만 , 금정산맥의 주봉인 고당봉(801.5m) 에서 남서방향으로 당감동위의 백양산(642m), 엄광산(503.9m), 구덕산 (562m), 시약산(509m), 승학산(495m)이있고, 마지막 다대포·몰운대까지 이어진다. 해발 642m의 금정산맥에 속한 부산진구가 자랑하는 명소이며 등산뿐 아니라 산책겸 나들이 하기에도 좋은 산이다. 백양산은 금정산 주봉 고당봉(801.5m)으로부터 장군봉(727m), 계명봉 (601.5m), 상계봉(638m), 원효봉(687m), 의상봉(620m), 파리봉, 미륵봉, 대륙봉 등 600m 내외의 봉우리들과 연이어저 있는 한 자락의 산이다. 참고:부산의 산; 첫번채는 원효산→금정산→백양산→구덕산→다대포로 이어지고, 두번채는 울산 서북부 달음산→장산→금련산→봉래산으로 이어진다. 큰산 주봉들 천마산(324m), 구덕산(562m), 구봉산(408m), 엄광산(503m), 금정산(796m), 황령산(427m), 금련산(415m),백양산(642m) 백 양산을 오르는 길은 많으나 등반을 목적으로 하느것이 아니고 일반인으로서 관광 차원으로 이야기 한다면 정상까지 차도로 이어지는 코스로서 당감동 선암사로부터 출발하는길이 가장 적절하리라 생각하고 본인도 그길로 산행산책을 시작했다.

여름날의 수영천++++DRAMATIQUE ESSAY

여름날의 수영천++++DRAMATIQUE ESSAY 되돌아보는 수영천의 수풀(1) 도시하천 수영천은 그 수변공간이 생태계를 완전히 회복하고 있다. 지난 여름날 오가며 담아 뒀던 수영천의 풀숲들을 올려 봅니다. 부산 해운대구, 동래구, 수영구, 금정구,를 접하는 수영강은 회동수원지로 부터 광안리 앞바다 수변공원 회타운 앞까지 ㅇ제 그 예날 오수로 뒤범벅이되어 악취나는 그런 강이 아니다. 숭어가 뛰어 오르고 수상스키를 즐기면 낚시를 하는 가장 이상적인 도시 하천으로 거듭나고 있다. 옛말에 먼 앞날을 내다보는 군왕은 치수사업에 열중한다고 했다. 누가 먼저랄것도 없이 우리나라 지자체에서는 크고 작은 치수 사업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 그 결과는 좋다고 생각한다. 부산의 수변공간 정비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려 진행되고 있지만 특히 수영천이나 온천천은 약간의 아쉬운 부분도 있으나 나름대로 결과는 좋다고 본다

전자파 많이나오는 휴대폰과 적게나오는 휴대폰 알아보기

전자파 많이 내는 휴대폰 적게 내는 휴대폰 알아보기 참고 1 전자파를 가장적게 방출하는 휴대폰 순위20개 2011/05 미국사용제품중 번호 Manufacturer and model SAR level(digital) 1 Beyond E-Tech Duet D8 0.109 2 Samsung Eternity SGH-A867 0.194 3 Samsung Blue Earth 0.196 4 Samsung SGH-G800 0.23 5 Samsung Soul 0.24 6 Samsung Impression SGH-A877 0.27 7 Samsung Innov8 0.287 8 Beyond E-Tech Duet D888 0.32 9 Samsung SGH-T229 0.383 10 Samsung SGH-A167 0.452 11 Samsung SGH-i450 0.457 12 Samsung Rugby SGH-A837 (AT&T) 0.46 13 Samsung Propel Pro 0.473 14 Samsung Gravity 0.487 15 HTC Imagio (Verizon Wireless) 0.498 16 Samsung Alias 2 SCH-U750 0.541 17 Samsung Gravity 2 0.547 18 Motorola Karma QA1 0.55 19 AT&T Quickfire 0.563 20 Sonim XP1 0.6 참고 2 전자파를 가장많이 방출하는 휴대폰 순위20개 2011/05 미국사용제품중 번호 Manufacturer and model SAR level(digital) 1 Motorola V195s 1.6 ...

너덜겅-돌서렁++++DRAMATIQUE ESSAY

너덜겅-돌서렁++++DRAMATIQUE ESSAY 너덜겅 과 돌서렁 산행을 하다보면 골짜기 하나가 온통 바위들로 가드관 곳을 가끔 볼수 있다. 산비탈 전체가 커다란 바위들로 꽉 차서 그 지대를 잘못 들어가면 체력이 급격히 소진되어 위험할수 있기 때문에 등산로는 주로 너덜겅 지대를 피하는것이 좋다. 너덜겅이란 동서렁 이라고도 하는데 돌서렁은 주로 거대한 화강암들이 오랜시간동안 풍화작용의 물리적인 힘이 바위들의 틈새(절리)를 파고들어 쪼개진 것들이 흙으로 잘 분해되지 않는 돌덩이들이 모여서 이룬 지대를 말한다. 계곡에 모여있는 너덜겅은 그 아래로 물이 흐를수도 있고 이때는 바위가 일부 수분을 증발시켜 물은 온도를 빼았겨서 냉장고처럼 시원해지며 구조상으로 얼음이 어는곳도 있다. 이 돌서렁 또는 너덜은 암벽에서 떨어져 나온 바위들이 산의 비탈면에 쌓여서 돌밭을 이룬곳인데, 지질용어로는 테일러스(talus) 또는 애추(崖錐)라고 하며 지방에 따라서 너덜이라고도 하며 돌서렁 이라고도 한다. 산인들이 주로 너덜지대라고 말하는데 정확한 표현은 너덜겅 지대라고 해야한다. 이 돌서렁이 만들어 지기까지의 시기는 제3기말경인 약 300만년에서 400만년 전쯤에 형성되기 시작한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자파 알아보기++++DRAMATIQUE ESSAY

전자파 알아보기++++DRAMATIQUE ESSAY 모바일폰에 대한 전자파 상식 전자파란 (EMF-electromotive force) 정확한 표기는 전기자기파 라고 하며 줄여서 전자파 라고 하는 전기웨이브로서 공간에 방출하는 에너지이다. 주파수가 낮은 장파 영영의 라디오나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도 전자파중 하나이지만 장파대의 전파는 인체에 유해한정도를 심각하게 말하고 있지는 않다. 특별한 의학적인 기구는 의도적으로 사용할때도 있다. 이 전기 에너지는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구성되어 서로 엇갈리며 맞물려서 진행방향이 90도 다른 각도로 나란히 달리며 전파되는 파동이고 속도는 빛과같은 초속 299,792,458(진공) 미터이다. 이 속도는 1초에 지구를 일곱 바퀴 반을 돌 수 있으며 지구에서 달까지 가는 데는 1초 정도 걸리고, 태양까지는 약 8분 걸린다. 전자파는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에 각종동식물이 살수 있도록 에너지를 공급하는 원천인 태양광도 그중 하나이며 가장 강력하고 지속적인 전자파 방출원이라고 할수있다. 태양이 방출하는 전자파는 우리가 볼수 있는 가시광선 보다 높은주파수와 보다 낮은주파수의 많은 전자파를 방출하지만 7색 스펙트럼으로 분해할수있는 가시광선만 볼수있다. 가시광선보다 역간 높은 자외선이나 약간 낮은주파수의 적외선은 보이지 않드라도 많은 이용을 하고 있다. 다만 모바일폰이 발생하는 주파수대역의 전자파 에너지가 직접 뇌에 흡수되는 정도에 따라 유해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전자파 흡수율 레벨을 각국은 정하고 각종제품에 그 량을 규제하고 있다. 여기서 알아야하는 인체 흡수율이라는 SAR는 전자파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을 의미하는 인체에 흡수되는 정도를 말하며, 휴대폰에서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 에너지량을 측정한 것이다. 국제권고규격이나 각국의 표준에는 SAR수치가 최대 허용노출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강제하고 있다. 따라서 SAR 수치가 높은 휴대폰이나 좀 낮은 휴대폰이 인체에 더 나쁘거나 덜 나쁘다는 증거는 없지만 대분의 사람들...

안드로이드 폰 속도 올리기(1)++++DRAMATIQUE ESSAY

안드로이드 폰 속도 올리기(1)++++DRAMATIQUE ESSAY 안드로이드 폰이 느려질때 스마트폰 속도 올리기 어플(Apps) 이 어플은 느려진 안드로이드폰을 시스템을 건드리지 않고 복구하는 하나의 수단입니다. 안드로이드를 OS로 탑재한 스마트폰은 알다시피 리눅스의 일종인데 PC와 가장 흡사한 사용환경이지요. 따라서 사용하다보면 자꾸 느려집니다. 그중에서 제일 문제가되는것은 내장메모리 잠식입니다. 내장메모리는 기본메모리와 비슷한 개념인데 이게 일정수준 이상 작아지거나 거의 없어지면 운영체제는 죽지못해 돌아갑니다. 즉 활동할만한 캐시공간이 줄어들어 땀흘리며 힘들게 버벅거리지요. 이때 루팅같은거 필요없이 그냥 이 어플을 실행하기만 하면 알아서 SD카드로 옮길수 있는 어플은 옮겨줍니다. 모든 어플이 다 외장메모리로 옮겨지는것은 아니지만 한정된 내장메모리가 상당히 확보되는것입니다. 물론 옮겨 놓았던 외장메모리에 놓여있는 어플을 내장메모리로 원래대로 옮길수도 있습니다. 특히 사진같은게 귀중한 내장메모리에 올려저 있다면 안되겠지요. 이렇게 내장메모리를 최대한 비워두고 씨스템이 속도 캐시로 활용할수 있게 해 준다면 폰체감속도는 상당히 개선되며 속도차이를 느낄수 있는메모리는 기본으로 항상 돌아가고 있는 어플에 숫자에 따라 다르겠지만 기본메모리의 1/5 정도는 확보해 줘야 속도가 안정적으로 빠르게 됨을 알수 있습니다. 빠르고 쾌적한 스마트폰의 속도를 느끼기 위해서는 기본메모리를 확보하기위해 쓸데없이 많은 상주 어플을 동작시키지 말아야 할것입니다. 안드로이드 추천어플 : APP 2 SD 무료(Free) 유료인 프로버전이 있지만 무료버전에서도 충분합니다. 실행하고 MOVABLE 버튼으로 옮깁니다. 캐시도 실행하구요. 메뉴에서 ON SD CARD 와 PHONE ONLY 로 현재위치한 어플들이 보입니다.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다운가능하며 운영체제를 건드리지 않는 안전한 어플입니다 .

루팅이란? Rooting ?++++DRAMATIQUE ESSAY

루팅이란? Rooting ?++++DRAMATIQUE ESSAY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루팅을 말하곤 한다. 루팅이란 루트권한 즉 최상위 접근 권한을 얻는다는 뜻이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오픈 소스로서 이 OS가 탑재된 스마트폰을 하나의 독립된 서버로 보고 이 서버의 운영체제를 만질수 있는 최고관리자로서 최고권한을 가지는것이며,

소니 알파와 sal1870 분석++++DRAMATIQUE ESSAY

소니 알파와 sal1870 분석++++DRAMATIQUE ESSAY 18mm 에서 70mm 까지의 거리에서 F값의 변화와 실제 사진. sal1870은 소니 알파 카메라에서 번들 기본렌즈로 공급한 소위 표준렌즈이다. 이 렌즈는 거저 얻은것처럼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이렌즈는 그리 나쁘지 않은 렌즈이다. 가격또한 온라인에서 쉽게 구할수있는 저렴한 가격대가 형성되 있으며 모델넘버가 말하듯이 18mm에서70mm 까지의 비교적 융통성 있는 화각대를 가지고 있다. 욕심을 좀더 낸다면 18~100mm 정도였다면 좋았을텐데 하고 생각해 보지만 타사의 번들에 비하면 이정도도 감사하게 생각해야 한다. 이 렌즈는 좀 특이하게 F3.5 에서 F5.6이지만 광각에서 짧은 초점거리가 아니고 35mm전후에서 가장 짧은 초점거리를 보여준다. 1870 , 1870 F변화 , 1870 test , 1870 밝기 , 1870 시험 , 1870사진 , 1870테스트 , a300 사진 , sal1870 , sal1870 사진 , sal1870 테스트 , sal1870시험 , 거리와 F값 , 소니번들 시험 , 소니번들 테스트

디카의 색온도시험++++DRAMATIQUE ESSAY

디카의 색온도시험++++DRAMATIQUE ESSAY 색온도 K 값에 따른 출력물 시험 화밸을 객관적으로 맞출수 있는 K값. 까다로운 형광등 불빛 아래에서의 화밸은 사람마다 맟추는 노하우가 있겠지만 고급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인들은 색온도의 K값을 알고 있을때 가장 근접한 결과를 출력하며 위 아래로 현장상황에 따라 약간만 변경하면 화밸에 접근할수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시험에 사용한 형광등은 40W 주광색(주로백색이라고 생각하는형광등) 이며 피사물과의 거리는 약 1.7m정도 의 천정에 매달린 형태이다. 벽면은 거의 반사가 없는 곰보 얼룩벽지이다. 피사물은 누구나 색갈을 알고있는 흔한 포카리스 병을 두고 황금색 머리를 가진 비교적 사람의 피부색과 흡사한 모델 바비를 택하고 누구나 색갈을 알고있는 깨끗한 A4 에 검은색 매직으로 글자를 쓰고 같은위치에서 조명변화없이 색온도 K값만 바꿔가며 찍었다. 참고로 사용된 카메라는 소니A300이며 ISO400에 고정하고 노출우선으로 찍었다. 편집은 포토스케이프로 크롭하고 샤픈이나 컬러등을 조정하지 않았으며 피사물의 윤곽때문에 콘트라트 +2에 일괄 셋팅했다. 본인이 이 시험을 한것은 실내에 가장많이 분포하는 형광등 불빛 아래에서의 의상색갈이 정직하게 나오는 범위를 시험하려고 했다. 실제로 실내에서 하얀 와이셔츠가 하얗게 나오는 사진은 특별한 장비 없이는 잘 안되었다 . 특히 형광등이 반사되는 벽면과 가까이 있는사람의 컬러는 색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SSH 프로그램++++DRAMATIQUE ESSAY

SSH 프로그램++++DRAMATIQUE ESSAY SSH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이야기. 원격컨트롤 시대이다. 쉽게는 직장이나 학교등 출장등지에서 서버에 접속을 하는경우나,자기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 하고 관리해야 하는일들이 발생할때 문제가 발생되면(실제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함)괜히 스니퍼를 의심하고 꺼림직한 느낌을 떨치지못해서 정신건강에도 해롭게 될 것 이다. 원격 컴퓨팅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파일을 어디서든 온라인만 살아 있다면 Open,Edit,Save,나 앞축된 형태로 전송된 파일을 원본대로 풀어 놓는등 많은 장점이 있는 장르의 소프트웨어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편리성 때문에 주로 FTP를이용하며 그 기능에 국한 하고 있다.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원격컴퓨팅용 SSH 프로그램 들을 살펴본다.. 원격컴퓨팅으로 역사가 오래된 텔넷은 편리한 만큼 보안 무방비 이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조금 들여다 볼줄아는 사람은 맘만 먹으면 아무나 내용은 물론 라인를 타고가고 오는 id나 pass 까지도 사이드로 훤히 볼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알려진 것 이다. Session hijacking 은 알려진 사실이다. 이후 편리하고 필요하지만 무보안상태인 텔넷을 Secure SHell 하게 만든 프로그램이 필요에 의해 등장하고 줄여서 SSH 프로그램이란 대명사로 알려진것이다. 간단히 secure 기능을 telnet에 첨가한 것이다 . 차라리 S-telnet 아라고 하는게 어필이 더 쉽지 않았나 하는생각도 해본다. 하여튼 SSH프로그램의 우수한 암호화 알고리즘이 Signal 을 분석불가능 상태로 만들어 온라인을 타고 다니게 함으로서 가로채기나 엿보기 당하는 걱정없이 원격 엄무를 보게된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