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7월 27, 2014의 게시물 표시

임진동래의총(壬辰東萊義塚) -임진전망유해지총(壬辰戰亡遺骸之塚).::블로그 에쎄이

임진동래의총(壬辰東萊義塚) -임진전망유해지총(壬辰戰亡遺骸之塚).::블로그 에쎄이 임진동래의총(壬辰東萊義塚).   -임진전망유해지총(壬辰戰亡遺骸之塚)-부산동래 금강공원내에 있는 역사유적. 부산과역시지정기념물 제 13호 1592년 임진년 선조 25년 오전에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가 수많은 군선과 함께  부산진첨사 정발이 지키고 있던 부산진성을 공격하고 함락시킨다. 이미 소식을 들은 동래부사 송상현은 죽기를 각오하고 전투준비에 임했다.   인근 지원군도 속속 도착하고 전투준비를 했으나 워낙 중과부족으로 어려운 전쟁임을 알지만 동래성의 민관군은 일심 단결했다. 부산진성을 함락시킨 여세를 몰아 고니시 유키나가는 동래성에 도착하자 성 앞에서 병력을 과시하며  戰則戰矣 不戰則假道 -전즉전의 부전즉가도- 즉 " 싸워 보고싶다면 싸우고 싸우기싫다면 길을 비켜라" 라는 오만한 글을  전투를 하기전에 송상현에게 깃발에 달아서 보여주었다. 자기들이 남의 땅에서 지나갈테니 길을 비키라는 오만방자한 소리인 것이다. 송상현은 왜군이 한반도에서 저지를 노략질을 잘 알고 부산 동래성을 죽기로 사수할결심을 하며  戰死易假道難 - 전사이 가도난- 즉 " 죽기는 쉬워도 길을 열기는 어렵다"라는 글귀를 내 걸었다. 곧 양군의 전투가 벌어지는데 이것이 동래성 전투이다 .   동래성전투는 초반에는 송상현이 준비를 잘 해서 고니시 유키나가가 쉽게 점렴하지 못하고 패주 후퇴했다가 병력을 재투입해서 전투가 계속되고 송상현은 극심한 중과부적으로 궁지에 몰리며 백성까지 힘을 합쳐 돌맹이를 던지는 지경까지 가는 충절과 함께 최후를 마친다. 이로서 임진년 왜구들의 침략으로 시작된 암담했던  임진왜란(壬辰倭亂)의 서막이 시작된것이다 . 송상현은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알고 부채에있는 자신의 아버지인 사헌부 감찰 송흥복에게 편지를 써 보내고 조복을 갈아입고 임금이 있는 북쪽을 향해서 북향사배를 올린다.   동래성은 함락되고 적장...

사마귀가 흔드는 이유?::블로그 에쎄이

사마귀가 흔드는 이유?::블로그 에쎄이 공격자가 흔드는 이유? 포식자 사마귀의 흔들기. 사마귀를 관찰하다 이상한 몸짖을 본다. 물가에서 피서하다 사마귀가 바위위에서 먹이를 공격하려는 모양을 담았다. 사실 공격자세인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는 모르지만... 사마귀는 같은 레벨의 생물중에서 포식자이다. 포식자가 먹이를 공격하려는 자세로 본다면,이 행동은 상당히 의미있는 몸짖이다. 얼핏보기에 우리의 택견같은 느낌이 든다. 한국의 전통의 민속놀이기도 하고 고유 무술이기도 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  택견 또는 태껸이 보여주는 독특한 리듬으로 스텝을 밟으며 다리걸기, 발차기, 던지기 등의 공격을 하는 모습을 연상케한다. 어쩌면 택견이 태생될때 이런것과 연관 있지는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유사한 모양을 보인다.  사마귀의 이상한 행동을 재빨리 영상으로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