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산 신라유적 탐방기(7) 하늘에 떠있는 석탑 경주남산용장사곡삼층석탑(慶州 南山茸長寺谷三層石塔). 금오산(金鰲山468m) 정상에서 휴식을 한후 하산하는 길은 순환도로와 잠시 겹치는 좋은길을 걷으르며 하산하다가 곧 급경사를 만난다.바위틈으로 연결된 난코스는 작은산이라고 함부로 깔볼 수 없는 몇군데의 밧줄을 타고 하강한다. 지금내려가는 용장골은 남산의 금오봉과 고위봉 사이의 여러 골짜기 중에서 가장큰 계곡이며 이 계곡에는 용장사지를 비릇해서 18곳의 사찰터와 7기의 석탑과 5위의 불상이 있다. 정상에서 약 400m아레에 용장사지가 있지만 아직 산 8부능선부근이다.바위계곡을 빠저나오면 허공에 솟아있는 삼층석탑을 만나는데 남산의 여러 봉우리와 함께 하늘에 우뚝선 장관을 연출한다. 석탑경주남산용장사곡삼층석탑(慶州 南山茸長寺谷三層石塔) 단아한 모습으로 바위난간 끝에 자리잡고 천년 풍상을 견디며 서라벌을 내려다 보는 이 석탑은 그 제작을 상상하면 미스테리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그 옛날 석공들은 이렇게 높은 산정 바위난간에 어떤 도구를 사용해서 석탑을 쌓을 수 있었는지 상상이 안된다. 이 탑은 경주남산용장사곡삼층석탑(慶州 南山茸長寺谷三層石塔)이라는 긴이름을 가지고 있다. 안내판의 영문표기를 보면 Kyeongju NamsanYeongjangsagoksamcheungseoktap 이라고 표기하고 있는데 과연 외국인이나 영어권의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철자 표기인지도 모르겠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86호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해정구역 장소는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산 1-1번지이다. 규모는 4.42m의 높이이며 화강암으로 다듬어진 통일신라시대의 미술품으로서 뛰어난 문화 유적이다. 이곳에서 좌우를 살펴 보면 남산의 산봉우리들의 전부를 볼 수 있는 위치이며 산정가까이 돌출된 큰 바위 덩어리가 아스라이 벼랑을 이루는 곳에다 탑을 우뚝 세운 것 이다. 이 탑은 1층 기단에 3층의 탑신을 갖추고 장식이 없으며 형식이 단아하지...
일반적인 지식이나 상식 정보 등을 사진과 함게 이야기하는 개인 블로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