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월 22, 2017의 게시물 표시

산행중에 만난 오색딱다구리

산행중에 만난 오색딱다구리 : 금정산 겨울 산행중에 마른 나푸숲에서 들리는 딱딱딱하는 소리를 듣고 바라본 오색딱다구리를 찍은것입니다.  딱따구리중에서 가장 예쁜 오색딱따구리는 딱따구리목 딱따구리과 오색딱따구리속에 속하는 텃새입니다. http://omnislog.com/846

크롬캐스트 설치::OmnisLog

크롬캐스트(ChromeCast)무데포 설치::OmnisLog 구글 크롬캐스트( ChromeCast)리뷰 . Google ChromeCast setup 스마트폰이나 데스크톱 컴퓨터를 무선 WiFi로 TV를 연결해서 볼수 있다면 참 편리한게 많다. 이런용도로 나온 제품들은 가격도 다르고 블랜드도 다르고 종류도 많지만 블랜드인지도나 가격면에서 개인적으로 맘에 들어 크롬캐스트로 결정했다. 무데포로 덤빈 크롬캐스트 설치기이다. PANTECH | IM-A860K | 1.1mm | ISO-0 | 2014:05:30 11:45:32 크롬캐스트(ChromeCast)무데포 설치 구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대충 크롬캐스트에 대한 개념은 알아봤기대문에 볼것도 없이 그냥 마구 같은 단자에 꼽았다. 설치라고 할 것도 없다. TV뒤에 나와있는 HDMI단자에 크롬캐스트를 꼽고 준비된  USB전원 케이블을 연결했다. AC전원 아답터는 왼지 24시간 켜 있을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USB전원으로 선택한것 뿐이다. 민박스 안에 보통의 USB메모리스틱보다 조금 큰 크롬캐스트1개, 전원 연결 USB 케이블 1개, USB 어댑터 1개가 전부이다. 캐스트와 TV는 바로 연결해도 되지만 동봉된 연장아답터를 버릴수도 없고 어디에 두면 분명 필요할때 있어버릴것임으로 하드웨어의 발열도 맊아줄겸 캐스트와 사이에 끼워 연장 했다. PANTECH | IM-A860K | 1.1mm | ISO-0 | 2014:05:30 11:46:42 크롬캐스트(ChromeCast)무데포 설치 PANTECH | IM-A860K | 1.1mm | ISO-0 | 2014:05:30 15:36:56 크롬캐스트(ChromeCast)무데포 설치 PANTECH | IM-A860K | 1.1mm | ISO-0 | 2014:05:30 12:28:54 Google ChromeCast setup 일단 전원이 들어오면 TV화면에 소스 입력이 외부 HDMI로 잡...

고려왕조(高麗王朝)계보및 왕위계승 도표::블로그 에쎄이

고려왕조(高麗王朝)계보및 왕위계승 도표::블로그 에쎄이 고려왕조(高麗王朝)계보및 왕위계승 도표 고려왕조(高麗 王朝 )는 태조왕건이 918년 건국하여 1392년 조선 왕조에게 망하고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까지 474년간 한반도를 국토로 하며 이 지역을 장악하고 지배하였던 왕국이다. 왕조 이전에 신라 말기 송악 지방 호족 왕건이 나라를 일으킨후 919년에 지명을 송악에서 개경(開京:개성)으로 변경하고 수도로 했다. 이후 936년 한반도를 재통일 했다. 수도 개경과 외항 벽란도를 중심으로 중국, 일본, 아라비아, 페르시아 등과의 외국무역도 한 개방국이었으며 송나라와 우호관계에 있었고,요나라(거란), 금나라(여진)등의 침공을 받았으나 격퇴하여 국력도 강했다. 12세기에 들어 무신정변이 일어났고 최충헌, 최우등의 이른마 최씨 무신국가가 되었으며 이 시기 반정부 세력이 등장했다. 13세기들어서며 약 30여년동안 원나라(몽골)의 침략으로 결국에는 지배를 당하게 되어 국력이 쇠퇴하다가 결국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기점으로 고려왕조는 멸망했다. 조선을 있게한 직전국가로서 역사적인 연장선상에 놓인 한반도의 통일국가 고려왕조의 계보와 왕위계승도를 보여드립니다.     

늙은 호박 우거리(오가리).::블로그 에쎄이

호박 우거리(오가리).::블로그 에쎄이 호박 오가리(우거리). 우거리나 오가리는 같은 말이다. 오가리가 표준이고 우거리가 방언이라고 하는데 나는 어릴때부터 호박우거리라고 알고 있어서 우거리가 편하다. 호박이나 박같은 것을 가늘고 길게 잘 잘라서 주렁주렁 말린것을 말한다. 말리기 전보다 말린후에는 그 고유의 성분들이 진해저서 우리에게 이로운 물질이 많아지고 식품으로서 효능이 좋아진다고 한다. 그리고 보관성이 좋아서 겨우내 두고 두고 먹을수 있어서 좋기 때문에 시골에서는 가을이 되면 주로 늙은 호박을 잘 잘라서 우거리로 만들어 보관한다. 호박떡도 만들고 호박밥도 만든다. 꽂감처럼 졸깃졸깃하고 단맛도 나서 아주 좋은 음식이 된다. 선영을 둘러 보기위해서 시골에 갖다가 어느 집 곳간에 널어둔 호박우거리를 보고 언린시절 우리집에 달아놓았던 호박우거리가 생각나서 나도 모르게 사진으로 담아온것이다. 호박의 효능은 예로부터 위장을 튼튼하게하고 노페물을 배출하며 충을 죽인다고 하며 가래를 배출해서 폐기능도 좋게한다고 알려지고 있는 건강식품이다. 어린 호박도 좋지만 늙은 호박은 혈액순환에도 도움을 주기때문에 노인들에게도 좋은 식품이라고 한다. SONY | DSLR-A300 | 1/125sec | F/3.5 | 22.0mm | ISO-100 호박 오가리(우거리). SONY | DSLR-A300 | 1/80sec | F/4.0 | 30.0mm | ISO-100 호박 오가리(우거리). # 호박 오가리 , # 호박떡 , # 호박말림 , # 호박우거리 , # 호박의효능

한겨울에 핀 부산 복천동 매화::블로그 에쎄이

한겨울에 핀 매화::블로그 에쎄이 전국이 강추위로 꽁꽁 얼어 붙었는데 부산 복천동 고분군에 매화가 피었네요. 자주가는 산책길에 매화가 피고 있습니다. 어쩌다 몇송이 핀게 아니고 이 부근 복천박물관 뒷길이나 주차장에서 고분가는길 입구나 일제히 피기시작하네요. 좀 빨리 피는 종류인지는 모르지만 매화는 한파가 몰아치거나 눈이 오거나 아랑곳 하지 않고 계절이 오면 피나 봅니다. 2017년의 첫 매화를 보고 기쁜 마음으로 담아온 사진입니다. 보통 매화축제를 하는 시기는 3월달이 되야 하는데 이렇게 빨리 피는 매화는 그 종류가 다른가 봅니다. SONY | ILCA-77M2 | 1/200sec | F/7.1 | 70.0mm | ISO-100 2017년 첫 매화 SONY | ILCA-77M2 | 1/160sec | F/6.3 | 70.0mm | ISO-100 2017년 첫 매화 SONY | ILCA-77M2 | 1/160sec | F/6.3 | 70.0mm | ISO-100 부산 복천동 매화 SONY | ILCA-77M2 | 1/160sec | F/8.0 | 40.0mm | ISO-100 매화소식 SONY | ILCA-77M2 | 1/200sec | F/7.1 | 70.0mm | ISO-100 매화

천만리(千萬里) -조선충신(忠臣)-충장공(忠壯公)-화산군(花山君)

조선충신(忠臣) 충장공(忠壯公)이 된 화산군(花山君)천만리(千萬里) : 조선충신(忠臣)이 된 명(明)나라 장수 천만리(千萬里). 부산  자성대 기념비로 보는  근대사의 인물 조선 충신  화산군(花山君)  충장공(忠莊公) 천만리(千萬里).   근세사의 귀화인물  천만리(千萬里) 장군은 무신으로서 명(明)나라에서 귀화한 이국인(異國人)이지만 대를 이어 조선조정에서 충신으로 살았으며 충장(忠莊)이라는 시호를 받고  전국각지에 조정이 배향하는 인물이며  [ 두산백과 - 천만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천만리]  [인명사전 - 천만리 ]. 등에  등재 소개되고 있는데 공부하는 자세로 알아봅니다. 장군은 중국 하남성의 영양(潁陽)이 본관인데 중국에서의 가계도는 알려지지 않지만, 우리나라에선  영양천씨(潁陽 千氏 )의 중시조입니다.  무신으로 귀화했지만 문신으로 여생을 살며 저서로 시 44수와 문 2편이 '사암천문집'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장군은 명나라의 수위사 겸 총독장(守衛使兼總督將)으로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전공을 세우고 귀화하여 한국 영양 천씨의 중시조가 되었으며   충장공(忠壯公)시호를 받은 조선조정의 충신(忠臣)입니다 .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연말까지 지속된 전쟁임. SONY | ILCA-77M2 | 1/80sec | F/4.5 | 18.0mm | ISO-100 | 2015:12:02 06:02:58 자성대 이하 장군의 대략(大略)과 행적을 알아봅니다. 숙종조에서는 공적을 기리기 위해 ‘대보단(大報壇)’을 설치 종향(從享)했다. 고성(固城)의 호암서원(虎巖書院- 호암사(虎巖祠) ), 청도(淸道)의 황강서원(皇岡書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