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아날로그 앰프인 게시물 표시

아날로그적인 감성은 지키자

이미지
아날로그적 감성은 지키자 디지털은 기본적으로 Yes or No 를 기반으로 형성된 논리회로의 지대한 산물입니다.  현대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는데 공헌을 한 2진수의 마법은 놀라운 것이지만 절대로 만능은 아닙니다.  어찌 보면 불교의 어느 고승이 내뱉는 화두처럼 들리는, 긴것도 아니고 아닌 것도 아니거나 또는 기기도 하고 아니기 도 하며 적당한 정도로 대충 비슷한 경지를 나타내는 아날로그의 위대함을 우리는 간과하는 지경에 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아날로그 진공관 앰프 내가 공부할 때는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로 넘어가는 첫 시기었음으로 당시에는 디지털 개념 그 자체가 경이적인 이론이었고 반도체 단위소자 한개인 콩알만한 트랜지스터 한개의 능력에 매료되어 덩치크고 열나고 전기 많이 먹는 진공관(전자관:Vacuum-Tube)을 버리고 모든 전자회로의 구동을 반도체로 재구성하든 시기었습니다.  당시엔 전자화로만 국한해서 D/A 비를 본다면 아나로그로 구성된 전자관회로가 99%이상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었으며 신기술을 다루는 책에서 디지털의시대의 기본소자인 반도체 구동원리가 하나씩 다루는 정도였으며 당시의 방송국에도 메인출력 파이널관은 좀 과장되게 말하면 어린아이만큼 큰 수냉식 진공관이 전국의 하늘에 전파를 쏘아보내던 때이었지요.  불과 50~60년전에 시작된 반도체의 활약은 처음에 트랜지스터 소자 3개로 만든 상업용 3석라디오로 출발해서 6석-8석라디오 하며 초기 반도체 상업제품을 만들다가 이제는 콩알만한 단위소자가 눈에도 안보일만큼 단위소자가 작아젔습니다.  이제는 그 작은 소자들이 집적되어 한개의 칩 속에 반도체 단위소자 수백-수천 개 아니 수백만개까지 내장되게 되었고 화로동선은 보이지도 않는 미크론단위로 가늘어진 그런 칩을 여러개 사용해서 만든 제품들이 우리의 모든 생활용품에 장치되며 어린애 장난감에도 콘트롤러로 사용되는 놀라운 발전을 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