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야경인 게시물 표시

화이트밸런스와 사실적표현++++DRAMATIQUE ESSAY

이미지
화이트밸런스와 사실적표현++++DRAMATIQUE ESSAY 나의 카메라는 화이트 밸런스를 맞추고 찍는가? 일부러 사진을 작가가 어떤도구를 이용하거나 카메라 혹은 필름으로 색갈을 덧쒸우거나 효과를 내는 경우는 화밸과는 상관없이 백색이 백색으로 나오지 않는다. 화이트 밸런스는 SLR뿐만 아니라 모든 카메라나 영상을 표현하는 모니터나 스크린등 실사를 목적으로 하는 이미지에는 절대로 필요한 중요한 요소이다. 다만 화이트 밸런스를 기초하는 배합된 원색은 매체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다. 대개는 빛의 삼원색 즉 적,청,록의 배합을 정확히 해서 베이스를 백색으로 유지한다. 물론 백색을 배합하는 RGB나 검은색을 배합하는 CMYK를 이해하면 도움된다. 백색을 백색으로 유지할때 그 바탕에 입혀지는 이미지는 이미지 그 본래의 색갈을 표현하게 될것이다. 카메라에서의 화이트밸런스 즉 화밸은 렌즈가 피사물을 볼때 CCD/CMOS/EXMO 등의 촬상면에 본래의 색갈 그대로 표시하게 하는 중요한 셋팅이다. 인간의 눈으로 볼때 백색을 카메라도 백색으로 인식시키는것을 화밸을 맞춘다고 하는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보통의 깨끗한 A4는 하얀색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도로의 차선은 하얀색이다. 외부 빛이 없는 깜깜한 밤은 검은색이다. 하얀 눈은 하얀색이다. 위에서 열거한 몇가지는 정상적인 사람이 화이트로 인식한다. 사진에서 위의 색갈이 정상적인 사람이 알고 있는 색갈이 아닐때는 특별히 모션을 주거나 필터를 넣어서 임이의 색을 연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대로 나와야 하며 화밸이 맞을때는 그렇게 나온다. 예를 들어 깜깜한 어둠을 찍었는데 녹색으로 나온다면 아무리 우겨도 화밸이 틀린것이다. 하얀 설경을 찍었는데 순백부분이 그린으로 나온다면 화밸이 안맞는것이다. A4를 찍었는데 하얀색이 아니라면 화밸이 안맞는것이다. 야경을 찍는분이 그래픽같은 야경으로 말하며 색갈이 사실이 아니라고 말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사실 대로라면 가로등 불빛과 자동차불빛과 하늘과...

Night view of BUSAN

이미지
Photo Gallery - Night view of BUSAN. 해운대 광안리를 중심으로 보는 부산야경. 다리품 판 결과. .

동백섬 야간 산책

이미지
부산자랑-동백섬에서 야경 부산에서 해운대와 광안리를 동시에 볼수 있고 운치도 좋은곳 으로서 자동차로 쉽게 갈수있는 동백섬 일주로는 추천할만한 야간 산책 코스 입니다. 이제 초여름의 바닷 바람은 쉬원하고 마린시티의 불빛 또한 아름답습니다. 곧 붐비게 될 해운대 비치와 미포 스카이라인도 운치가 있습니다. 마린시티에서 진한 커피한잔 하시고 동백섬을 한바퀴 돌아서  달맞이 고개로 드라이브 한번 하세요.(동백섬안엔 자동차 진입 금지이며 입구에 무료주차장 있습니다) 아무리 찌든 스트레스도 확 날릴수 있을 것 입니다. 야간 산책중에 담은 몇장의 사진을 올려 봅니다. 아래 사진들은 지난 겨울밤에 찍은 것 입니다. 사진을 크릭하면 큰사진을 볼수 있습니다. 동백섬에서 불빛에 비친 작년에 익은 마른망개 동백섬에서 국민야경 마린시티 사진 동백섬에서 광안대교와 마린시티 동백섬에서 불꺼진 등대와 그아래.. 동백섬에서  해운대비치의 야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