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화왕산인 게시물 표시

창녕 도성암

이미지
입구에 들어서면 일주문이 약간 오른쪽으로 비껴있고 웅장하게 보이는 보제루는 누각을 오르면 종각으로 사용되며 보제루 누각 아래의 계단을 통과하면 경내 중앙뜰에 도달하는 구조입니다. 흡사 동래 범어사 입구를 연상케하는 구조이군요. 마당에 들어서면 중앙좌측에 대웅전이 있고 대웅전 오른쪽에 약사전이 배치되어있습니다. 약사전뒤로 삼성각이 보이는데 크지 않은 사찰이지만 짜임이 안정적이고 경내가 밝은 기분이 느겨지며 뒤로는 화왕산이 큰 병풍으로 둘러쳐진 전형적인 명지에 자리잡은 사찰입니다. 이곳에는 창녕도성암석조아미타여래좌상(昌寧道成庵石造阿彌陀如來坐像)이 있으며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는 석조불상입니다. 석조불이지만 매우 섬세하고 아름다운 조각기법으로 조성된 작품으로 창녕 유형문화재입니다 . 이 본존불 좌우 협시불은 최근에 조성된 것입니다. 출처:  http://riverwind.tistory.com/537  [강물처럼 바람처럼 Photo Blog]

관룡산과 관룡사 탐방 - 블로그 이야기

관룡산과 관룡사 탐방 - 블로그 이야기 관룡산과 관룡사 탐방 11월의 단풍이 절정인 관룡산과 관룡사 나들이 후기를 씁니다. 지난일요일 늦은 시간에 관룡사와 관룡산 용선대를 둘러보고 좋은 산세와 사찰과 경치를 몇장담고 기쁜 하루를 보내고 돌아왔습니다. 관룡산은 753m의 그리높지 않은 산 이지만 함부로 다니기엔 험한 산이지요. 험하기도 할 뿐더러 빼어난 암산의 기상이 돋보이는 아름다운 산이기도 합니다. 남부지방의 대부분의 산봉이 노년기에 접어든 부드러운 능선이지만 이 산은 아직도 펄펄 뛰는 암봉들이 살아 있는 청년기 형태의 산입니다.  능선의 등산로도 길이 아주 좁고 발아래 천길 낭떠러지가 많으며 바위길이 아슬아슬하게 위험한곳도 더러 있고 또 마사토로 형성된 산이라서 작은 모래알갱이가 깔려있는 아주 미끄럽기도 한 곳입니다. 특히 관룡사에서 곧바로 오르는 코스는 거리는 짧지만 함부로 오르면 위험한 조심스런 코스임으로 초탐자는 우회하는것이 좋습니다. 본인도 그길을 처음으로 올라봤으며 어느 산인두분이 루트를 개발했는지 유일하게 그분들이 달아 놓은 리본이 안내 했으며 몇번을 고맙게 생각하고 올랐습니다. 바로 앞에서 어떤 부부 산인이 길이 없다며 되돌아 하산하는 분도 만난곳 입니다. 관룡사에서 우측으로 돌아서 등산로를 따라 관룡산 끝자락부터 오르면 그나마 좀 쉬운 코스 이지만 수직으로 바로 오르면 상당히 힘들고 위험한 길입니다. 수직길은 발달되지 않은 개척로와 같은 등산로 이기 때문에 자칫하면 길을 잃을수도 있는 길입니다. 하여튼 수직상승하는 길로 올랐으며 암봉을 둘러보고 한바퀴 돌아 내려오며 담은 사진 몇장을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