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태블릿 PC와 스마트폰의 경계는 없다 갤럭시 메가. :: All about Mobile devices

태블릿 PC와 스마트폰의 경계는 없다 갤럭시 메가. :: All about Mobile devices

태블릿 PC와 스마트폰의 경계는 없다.

국내에서 최대로 큰화면 6.3인치 스마트폰 갤럭시 메가
삼성이 내놓은 SHV-E310S는 폰으로서는 최대크기인 167.6 × 88mm 6.3인치 초대형 화면을 자랑하는 갤럭시 메가는 탭으로 가지 않고도 즐길수 있는 대화면 6.3인치의 폰이다. 

갤럭시 메가는 이동통신 3사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시한다하며 곧 출시될 5.7인치 갤럭시노트 3에 앞서 대화면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의 의중을 알아볼 수 있는 제품으로 본다.

대화면 갤럭시 메가는 작은화면으로 불편했던 여러 가지 PC같이 운용하고 싶은 소비자의 욕구를 탭 같은 느낌으로 다가서는 스마트폰이다.

특징으로 스마트폰 첫 화면 홈스크린과 앱 창을 가로 또는 세로 모드로 사용자경험 UX로 구성해서 환경에따라서 자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이다.


또 일부 앱에서는 넓은 화면인 가로 모드에서 더블스크린으로 나눠 보여 주는 이른 바 '화면 분할' 기능이 탑재 되어 스마트폰 와이드스크린의 효과적인 사용을 하게 했다.


그래서 진정한 멀티 태스킹을 가능하게 하는 큰화면 스마트폰으로서 비즈니스 유저를 위한 진정환 이동식 오피스 매체로의 사용에 한걸음 다가간 것이다.


가로모드 홈 스크린은 편리한 발전이라고 볼 수 있다.이는 와이드 스크린 가로모드가 유저에게 최적의 사용성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태블릿 PC와 스마트폰의 경계를 허물 것같은 생각이 든다.


삼성 갤럭시 메가 SHV-E310S 간단스펙

CPU:액시노트 1.7GHz 듀얼코어, 
800만 후면카메라, 
전체 167.6 x 88 x 8.0mm크기에 무게는 199g, 
3G및 LTE모델.

카메라 화소 : 800만 화소(후면), 190만 화소(전면)
외장 메모리 : microSD, 최대 64GB

내장메모리: 16GB(가용 메모리: 11.38GB )
무게 : 205g

기본형태 : Full Touch Bar

크기(세로x가로x두께) : 167.6 × 88 × 8.0 mm


LTE(850/1800), WCDMA(1900/2100), GSM(900/1800/1900)



DMB 지원

카메라 이미지센서: CMOS

카메라 광학줌장착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송광사의 설경::OmnisLog

송광사의 설경::OmnisLog 겨울 산중가람 방문 사진후기 전국적으로 한파가 몰아치고 서해중부지역으로 강설이 내립니다. 교통주의 사고주의 미끄럼주의를 해야 하며 생활에 불편이 많지만 한편으론 설경이 포근하고 아름다워서 마음이 풀리기도 합니다. 눈이 많이 온것을 두고 득실을 논하는것은 아니며 눈속의 그림같은 풍경을 말 하는것 뿐입니다. 눈덮인 경치는 하얀색갈로 모든것을 덮어버려서 깨끗한 느낌때문에 좋은것이 아닐런지요. 어쩐지 근심걱정이 사라지고 포근하고 행복해지는 느낌이 드는것은 사실입니다. 특히나 눈올때 산중 사찰을 찾아가 보면 애애한 경치와 사찰풍경이 잘 어울어저서 하나의 자연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그속에서 움직이는 사람까지도 말입니다. 아래는 전라도 송광사에서 담은 사진 몇장입니다. 송광사 설경 송광사 설경 송광사 설경 고드럼

자연상태의 다람쥐 유인 블로그 에쎄이

자연상태의 다람쥐 유인 블로그 에쎄이 자연상태의 다람쥐 유인 영축산 산행중 가지고 있는 빵으로  다람쥐를 유인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조심성이 아주 많았지만 끈질기게 기다려서 빵을 가지고 가서 먹고 또오는 일을 반복하다가 마침내 바위에서 먹을만큼 경계심을 늦추게 되었답니다.    올봄에 나온 새끼인진 몰라도 가을까진 먹을것이 귀한 산중입니다. 온갖열매가 나올때 까지는 굼주리는게 보통 산짐승들이지요..   야생 조류 유인하기 처음으로 유튜브에 동영상 만들어 본겁니다.꽤 번거롭군요.. 

예쁜 노랑 자생화-자생약초-애기똥풀 블로그 에쎄이

예쁜 노랑 자생화-자생약초-애기똥풀 블로그 에쎄이 봄부터 여름까지 노랑꽃이 예쁜  자생약초 -  애기똥풀(백굴채)   다른이름:   Chelidonium majus L. var. asiaticum (Hara) Ohwi   백 굴채(白屈菜:구황본초(救荒本草)),지황련(地黃連,우금화:牛金花:식물명휘(植物名彙),토황련(土黃連: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팔보긴 (八步緊, 단장초:斷腸草,산서과:山西瓜:요녕경제식물지(遼寧經濟植物誌)),웅황초(雄黃草:섬서중약지(陝西中藥誌)),산황련(山黃連:요녕 상용중초약수책(遼寧常用中草藥手冊)),가황련(假黃連: 동북상용중초약수책(東北常用中草藥手冊)),소야인혈초(小野人血草: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까치다리,젖풀,씨아똥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수 있습니다. DSLR-A300 | Shutter priority | Center-weighted average | 1/125sec | F/5.0 | 60.0mm | ISO-100 | 2011:05:06 16:15:44 DSLR-A300 | Shutter priority | Center-weighted average | 1/125sec | F/5.6 | 100.0mm | ISO-100 | 2011:05:06 16:15:20 꽃이 예쁜 양귀비과의 애기똥풀은 전세계에 2종이며 그중 한개가 우리나라에 변종으로 자라고 있는 가치있는 식물이지만 우리 들판에서 흔히 볼수 있다. 학명: Chelidonium majus L. var. asiaticum 분류:  양귀비과의 두 해살이풀 크기:15~50Cm 정도  꽃:4월~8월 노란색  꽃차례: 산형꽃차례 열매: 가느다란 삭과의 기둥모양이 하늘을 보고 서있다. 서식지:마을근처의 늪지나 논두렁 풀밭 특징: 줄기를 자르면 진노랑색 유액이 나온다. 자연염료로도 사용하며 한약재로서 백굴채라 한다. 생약으로 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