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과학인 게시물 표시

아날로그적인 감성은 지키자

이미지
아날로그적 감성은 지키자 디지털은 기본적으로 Yes or No 를 기반으로 형성된 논리회로의 지대한 산물입니다.  현대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는데 공헌을 한 2진수의 마법은 놀라운 것이지만 절대로 만능은 아닙니다.  어찌 보면 불교의 어느 고승이 내뱉는 화두처럼 들리는, 긴것도 아니고 아닌 것도 아니거나 또는 기기도 하고 아니기 도 하며 적당한 정도로 대충 비슷한 경지를 나타내는 아날로그의 위대함을 우리는 간과하는 지경에 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아날로그 진공관 앰프 내가 공부할 때는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로 넘어가는 첫 시기었음으로 당시에는 디지털 개념 그 자체가 경이적인 이론이었고 반도체 단위소자 한개인 콩알만한 트랜지스터 한개의 능력에 매료되어 덩치크고 열나고 전기 많이 먹는 진공관(전자관:Vacuum-Tube)을 버리고 모든 전자회로의 구동을 반도체로 재구성하든 시기었습니다.  당시엔 전자화로만 국한해서 D/A 비를 본다면 아나로그로 구성된 전자관회로가 99%이상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었으며 신기술을 다루는 책에서 디지털의시대의 기본소자인 반도체 구동원리가 하나씩 다루는 정도였으며 당시의 방송국에도 메인출력 파이널관은 좀 과장되게 말하면 어린아이만큼 큰 수냉식 진공관이 전국의 하늘에 전파를 쏘아보내던 때이었지요.  불과 50~60년전에 시작된 반도체의 활약은 처음에 트랜지스터 소자 3개로 만든 상업용 3석라디오로 출발해서 6석-8석라디오 하며 초기 반도체 상업제품을 만들다가 이제는 콩알만한 단위소자가 눈에도 안보일만큼 단위소자가 작아젔습니다.  이제는 그 작은 소자들이 집적되어 한개의 칩 속에 반도체 단위소자 수백-수천 개 아니 수백만개까지 내장되게 되었고 화로동선은 보이지도 않는 미크론단위로 가늘어진 그런 칩을 여러개 사용해서 만든 제품들이 우리의 모든 생활용품에 장치되며 어린애 장난감에도 콘트롤러로 사용되는 놀라운 발전을 한 것입니다.  ...

카드보드와 VR BOX 소감::OmnisLog

이미지
카드보드와  VR BOX 소감::OmnisLog 순전히 개인적인 느낌이니까 모든 사람이 다 같을 수는 없다는 것을 먼저 밝히며 사용 후기를 남기는 것이며 절대적 비교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원래 비싼것이 싼것보다 좋은것은 당연한 것이고,,... 그냥 종이 상자에 렌즈 두 개 끼워서 만든 것으로서 꼭 물놀이 할 때 쓰는 사각 수경처럼 생긴 VR기기인데 구글이 독창적으로 가상현실 체험용으로 보급한 것이다. 구글이 대단한 것은 엄청 저렴하게 보급하려고 노력했다는 것을 높이 사고 싶다. 구글 카드보드를 아들이 갖다 놓았는데 별 관심 없다가 가상 현실을 체험해 보고 싶은 마음에 4세대 VR 기계를 온라인으로 하나 샀다. 영화 아바타를 본 감동을 잊지 못해서 그런 느낌을 집에서도 체험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몇 가지 영상을 본 후에 관심 없었던 종이 VR기 구글 카드보드를 통해서 같은 걸 봤다. 웬걸 배달료가 아까워서 몇 개 더 사서 나눠줘도 아깝지 않을 만큼 저렴한 종이 상자 VR 기가 생각 밖으로 괜찮다는 걸 알았다. 오직 한가지 문제라면 미간 조절과 초점조절이 안 돼서 사람에 따라서는 전혀 가상 현실 체험을 하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다. 구글 카드보드를 10개도 더 살 수 있는 금액으로 산 4세대 VR 기는 초점 조절과 미간 조절이 가능한 VR 기라는 것 외에는 같은 원리이다. 고급렌즈를 장착했다고 하지만 딸랑 렌즈 한개인 종이 상자에 붙인 것과 가격대비 만큼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비싼 제품은 초점 조절이 되어서 영상을 자기 시력에 딱 맞출 수 있고 눈동자의 미간 거리가 안맞는 사람에게 정확한 위치를 맞출 수 있게 만든 것은 영상을 제대로 볼 수 있도록 한 획기적인 장점이다. 그외에 이어폰이 된다거나 착용감이 좋다거나 등등 좋은 조건이 있지만 종이 상자나 비싼 VR 기나 화질 면에서는 별로 차이를 못 느낄 정도이다. 가상현실 체험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이 정도의 고 ...

TV(모니터) 크기 인치 상식::블로그 에쎄이

이미지
TV(모니터) 크기 인치 상식::블로그 에쎄이 텔레비젼(모니터) 인치별 가로 세로 크기 알아보기 먼저 텔레비젼(TV)크기는 인치로 말하는데, 그 인치는 화면의 대각선 사이즈(크기)를 말 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가로:세로의 길이를 짐작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그리고 가로대 세로의 비율이 4:3이었다가 16:9 또는 16:100 이렇게 바뀌고 있음으로 더욱 헷갈립니다. 대형TV 형태로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42인치 부터 알아 봅니다. 사실 수학적으로 다 아는 피다고라스 정리를 하면 되지만 보통은 거기까지 안해보는데, 어쩔수 없이 계산 한번 해 봅니다 . 단 가로:세로 비율은 16:9 화면이라는 가정하에 계산합니다. 42인치자승= 가로자승+(9*가로/16)자승 이지요. 세로자승은= 42자승*16자승/(16자승+9자승). 세로=9/16가로 답은 인치이구요 최종적으로 가로,세로에 2.54를 곱하면 되겠네요. TV(모니터) 가로:세로 크기(길이)--외곽 케이스에 가려저 보이지 않는 부분도 포함 됩니다. 아래 가로-세로 크기는 몇Cm 씩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케이스 크기나 숨겨진 사이즈나 또는 인치를표시할때 예를들어서 실제 42인치가 이니지만 42인치형이라고 하는 모델등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대충 참고하는 정도로 활용하기 바랍니다. 50인치 모니터(TV)의 화면 크기       42인치 모니터(TV)의 화면 크기 가로 길이  92.98cm. 세로 길이  52.30cm. 가로 길이 110.69cm, 세로 길이   62.26cm. 63인치 모니터(TV)의 화면 크기         따라서 63인치 모니터의 화면은 가로 길이 139.47cm. 세로 길이  78.45cm. ...

원자력발전과 원자폭탄에서 농축우라늄 차이::OmnisLog

이미지
핵발전과 핵폭탄(원자력발전과 원자폭탄)의 농축우라늄 차이::OmnisLog 원자력발전과 원자폭탄의 재료 차이 원자폭탄의 위력을 설명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원자폭탄에 사용되는 재료는 우라늄인데 원자력발전에서 사용되는 연료도 똑같은 우라늄이다. 막연하게 같은 우라늄이기 때문에 대폭발을 할 수 있을것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두종류의 우라늄 처리를 알아 본다. 정확히 우라늄 235와 우라늄238의 농도 비율 때문에 핵폭탄으로 무서운 폭발을 일으킬 수도 있고 안전하게 증기터빈을 돌릴수도 있다. 원자력 발전에서는 우라늄의 막강한 에너지를 장시간에 걸쳐서 조금씩 발생할수 있도록 하며 우라늄을 이른바 저농축 시킨 연료를 사용한다. 저농축 우라늄이 원자로 내에서 핵분열을 일으낄때 발생하는 에너지로 약 310도C의 온도를 얻어서 물을 끓여서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서 발전한다. 이과정에서 정밀한 컨트롤로 핵이 과분열 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원자폭탄은 같은 우라늄 235를 사용하지만 고농축시켜서 우라늄235가90%이상의 순도가 될때까지 농축시킨 것을 재료로 사용한다. 이는 원자력 발전처럼 서서히 핵분열을 하는것이 아라 순간적으로 대량의 연쇄폭발로 이어져서 한꺼번에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발생시켜서 폭발하는것이다. # 고농축 우라늄 , # 우라늄238 , # 우랴늄 , # 우랴늄235 , # 원자력발전 , # 원자폭탄 , # 저농축 , # 증기터빈 , # 핵발전 , # 핵폭탄 ,#과학

시간이 정확한 앙부일구(仰釜日晷)::OmnisLog

이미지
앙부일구(仰釜日晷)의 정확한 시각::OmnisLog 앙부일구(仰釜日晷)의 정확한 시각 앙부일구(仰釜日晷)는 가마솥에 우러러는 태양의 그림자란 뜻이 담긴 해시계이다. 지금은 대부분 오목해시계라고 말 하지만 원명은 앙부일구(仰釜日晷)이다. 세종 16년 1434에 장영실, 이천, 김조 등이 만든 해시계이며 시각을 나타내는 판이 가마솥같이 오목하게 생겼으며 이 솥은 하늘을 우르러 태양의 그림자를 본다는 뜻의 앙부일구(仰釜日晷)이다. 현재 보여주는 앙부일구(仰釜日晷)는 원형에 가깝게 복원된 것으로 알며 당시의 해시계를 공부하는 목적과 우리고장 부산동래사람 장영실을 기리는 장소이기도 한 복천동 장영실공원에서 밝은 태양아래 내 스마트폰을 놓고 시각을 비교해 본다. 스마트폰에 나타난 10시23분은 앙부일구(仰釜日晷)가 가르키는 9시45분에 시차보정표의 38분을 더하면 정확히 현재시간과 같은 10시 23분이 도출된다. 아래는 부산지역의 위도상 시각과 차이 나는 부분의 해소를 위한 보정도 까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의 정밀도가 우수하다. 아래 사진처럼 작은 눈금을 그린다면 분은 물론 초단위 까지도 정확한 해시계라는 점이 놀랍다. 부산(釜山)은 가마솥같이 오목한 지형을 가진 곳이라는 뜻으로 장영실이 부산 동래 사람이며 가마솥부자는 부산의 부자와 같은 글자이다. 장영실의 과학적인 발명품이 대단 하다는것을 새삼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