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장 알아보기
국민장 알아 보기.
고인에 대하여 삼가 명복을 빌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그분의 장례식 절차가 국민장 으로 정해 젔다고 한다.
유족과 친지및 관련 된 많은분 들이 심사 숙고해서 결정 했으리라 생각된다.
이번의 盧전대통령 유족및 친지분들은 처음엔 조촐한 가족장으로 하려 했으나 많은 국민이 애도할 수 있도록 국민장 으로 결정 했다는 후문이다.
전직 대통령의 장례식이니 만큼 그 절차나 규모등이 어떻게 진행하는것인지 궁금해서 온라인에서 알아볼수 있는 정도를 찾아 봤다.
국민장: 국가 또는 사회에 현저한 공적을 남김으로써 국민의 추앙을 받는 사람이 돌아가셨을 때에 국민 전체의 이름으로 거행하는 장례의식이다.
우리나라 에서 국민장을 치른분들은 다음과 같다.
1.김구(金九).(1949년 6월 26일 서거)정부수립후 첫 국민장 1949년 7월 5일 임시정부주석
2.이시영(李始榮) 전 부통령(1953년 4월 17일 서거)
3.김성수(金性洙) 전 부통령(1955년 2월 18일 서거)
4.신익희(申翼熙) 전 국회의장(1956년 5월 5일 서거)
5.조병옥(趙炳玉) 민주당 대통령후보(1960년 2월 15일 서거)
6.함태영(咸台永) 전 부통령(1964년 10월 24일 서거)
7.장면(張勉) 전 부통령·국무총리(1966년 6월 4일 서거)
8.장택상(張澤相) 전 국무총리(1969년 8월 1일 서거)
9.이범석(李範奭) 전 국무총리
10.육영수(陸英修) 박정희대통령 영부인(1974년 8월 15일 서거)
11.당시는 '버마'의 아웅산 국립묘지에서의 순직자 17명 서석준(徐錫俊) 부총리, 이범석(李範錫) 외무부장관, 김동휘(金東輝) 상공부장관, 서상철(徐相喆) 동력자원부장관, 함병춘(咸秉春) 대통령비서실장외.(1983년 10월 9일 순직)
12.최규하(崔圭夏) 전 대통령(2006년 10월 22일 서거) 13.노무현(盧武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