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별산대놀이-중요무형문화재 알아보기 3번째
중요무형문화재 알아보기 3번째 제 2호 양주별산대놀이(楊州別山臺놀이) 내용:경기지방에서 연희되어 오고있는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중에서 분파된 한 부분.
문화재보존지:경기도 양주시 양주별산 놀이 보존회 명칭:양주별산대놀이 (楊州別山臺놀이)
1964.12.07 년 지정된 경기도 전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연극류.
산대놀이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하는 중부지방의 탈춤이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서울·경기지방에서 즐겼던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한 지파로서 춤과 무언극, 덕담과 익살이 어우러진 민초들의 민중 놀이이다. 이 놀이는 약 200년 전부터 사월초파일, 단오, 추석 등 크고 작은 명절때나 가뭄때에 비가 오길 기원하는 기우제행사 때에 시행된 춤이다. 양주별산대놀이의 대강은 양주고을 사람들이 한양의 ‘사직골 딱딱이패’를 초청하여 놀다가 그들이 지방공연 관계로 약속을 어기는 일이 많아지자 고을 사람들이 직접 탈을 만들어 놀기 시작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놀이는 전체 8과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놀이를 시작하기에 앞서 가면과 의상을 갖추고 음악을 울리면서 공연장소까지 행진하는 길놀이와 함께 관중의 무사를 기원하는 고사를 지내는 것을 포함한다. 등장 중요 인물은 파계승, 몰락한 양반, 무당, 사당, 하인과 늙고 젊은 서민들이 등장하여 현실을 풍자하고 민초들의의 생활상을 그대로 연출한다. 등장배역은 모두 32명이고 탈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있어 그 숫자는 보통 22개가 활용된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중부지방 탈춤을 대표하는 놀이로서, 해서지역 탈춤과 함께 한국 가면극 중 연극적인 볼거리가 풍부한 가면극중 하나이다.
<<이하 발췌:네이트 사전>>
이놀이의 격식의 진행은 놀이 전에 고사를 지내고 제물과 술을 음복한 뒤 놀이를 시작한다. 제석( 除夕 )에는 가면을 쓰고 동헌( 東軒 )을 비롯,육방( 六房 )을 돌아 축사(逐邪)하였으며, 만약 초청이 있다면 다른 지방에도 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