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 장영실(1편)
우리고장의 인물 - 장영실(1편)
과학자 장영실 2편 바로가기 http://dramatique.textcube.com/171
장영실은 세계에 그의 과학적인 유산을 남긴 우리의 역사적인 과학자 이다.
그의 고향은 지금의 부산 동래이다.
당시에는 부산지역에서 가장 큰 동래부에 거주하는 인물로서 미천한 신분이었다.
세종실록 의 가록에서 장영실의 아버지는 원나라 유민의 소주(쑤저우)·항주(항저우)사람이고, 어머니는 조선 동래현 기생이었다고 한다. 장영실이 동래현 아전시절에 그의 기술이 뛰어남을 태종이 알고 발탁 하였다 고 되어 있다.
아산 장씨 종친회에서는 출생은 1390(공양왕 2년)이라고 하며. 그의 아버지는 중국에서 귀화한 장서(아산 장씨 시조)의 8세손으로 고려 말 전서였으며 어머니는 동래현 관기로,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혼란기에 어머니와 장영실은 조선 관노로 전락 되었다고 말한다.
자영실이 만들어 그 기술적인 업적을 지금도 인정하는 그의 유품들을 현대 과학으로 하나씩 고찰해 보기로 한다.
그는 현대적인 논문을 쓰거나 지금의 학위같은 인증을 받은것은 아니지만 오직 그의 우수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제작된 실물이 존재함으로서 그의 과학은 우수하게 인정받고 있다.
장영실의 유품 첫번채 - 측우기.
측우기가 필요했던 국가적인 시기였을것이며 그 이유는 현대 국가적인 지방 조세나 건설및 강우의 실질적인 계절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세종때의 조세 활당을 근거에 의해 흉작인지 풍년인지를 추정하려했다고 생각된다.(작황의 상황을 고려치 않고 조세부과-부당) 강우지역을 파악해서 토지의 등급을 정하여 조세를 부과하려 했다. (옥토나 페토를 균등 세금부과-불공평) 실록근거:매년 봄만 되면 가뭄에 시달림-년간-계절간 과학적인 데이터를 확보하려 했다. 국가적인사업(토지측량, 호구조사, 축성사업 에 근거를 이용하려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