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 22일 일요일

과학자 장영실(1편)

우리고장의 인물 - 장영실(1편)

과학자 장영실 2편 바로가기 http://dramatique.textcube.com/171

 

장영실은 세계에 그의 과학적인 유산을 남긴 우리의 역사적인 과학자 이다.


그의 고향은 지금의 부산 동래이다.

당시에는 부산지역에서 가장 큰 동래부에 거주하는 인물로서 미천한 신분이었다.


세종실록 의 가록에서 장영실의 아버지는 원나라 유민의 소주(쑤저우)·항주(항저우)사람이고, 어머니는 조선 동래현 기생이었다고 한다.

장영실이 동래현 아전시절에 그의 기술이 뛰어남을  태종이 알고 발탁 하였다 고 되어 있다.


아산 장씨 종친회에서는 출생은 1390(공양왕 2년)이라고 하며. 그의 아버지는 중국에서 귀화한 장서(아산 장씨 시조)의 8세손으로 고려 말 전서였으며 어머니는 동래현 관기로,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혼란기에 어머니와 장영실은 조선 관노로 전락 되었다고 말한다.

자영실이 만들어 그 기술적인 업적을 지금도 인정하는 그의 유품들을 현대 과학으로 하나씩 고찰해 보기로 한다.

그는 현대적인 논문을 쓰거나 지금의 학위같은 인증을 받은것은 아니지만 오직 그의 우수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제작된 실물이 존재함으로서 그의 과학은 우수하게 인정받고 있다.

 

장영실의 유품 첫번채 - 측우기.

 

측우기가 필요했던 국가적인 시기였을것이며 그 이유는 현대 국가적인 지방 조세나 건설및 강우의 실질적인 계절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세종때의 조세 활당을 근거에 의해 흉작인지 풍년인지를 추정하려했다고 생각된다.(작황의 상황을 고려치 않고 조세부과-부당)

강우지역을 파악해서 토지의 등급을 정하여 조세를 부과하려 했다.
(옥토나 페토를 균등 세금부과-불공평)
실록근거:매년 봄만 되면 가뭄에 시달림-년간-계절간 과학적인 데이터를 확보하려 했다.
국가적인사업(토지측량, 호구조사, 축성사업 에 근거를 이용하려함).

공신력이 있는 측우기로 전국의 지방행정망을 통해 정기적이고 규칙적인 강우량을 측정하려함.
세종 7년(1425년) - 전국 현에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드는 정도를 조사하여 보고케 했다’는 기록으로 봐서 조정이 전국의 강우량에 관심을 가지지만 아마도 보고가 정확하지 몯했을것으로 보며 조정에서도 보고내용에 신빙성을 느낄수 없었다고 생각된다.

 

세종조 측우기는 장영실이 만들었다고 하지만 ,일설에는 장영실의 작품이 아니라는 설도 있다.


만약 장영실이 직접 제작한것이 아니라 할지라도,당시 장영실이 이미 세종조에서 과학적인 전문 부서를 운영했다면 그 때 만들어지는 모든 휘하의 작품은 장영실의 작품으로 보는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댓글 1개 :

  1. trackback from: contextual의 생각
    과학자 장영실(1편) 우리고장의 인물 - 장영실(1편) 장영실은 세계에 그의 과학적인 유산을 남긴 우리의 역사적인 과학자 이다. 그의 고향은 지금의 부산 동래이다. 당시에는 부산지역에서 가장 큰 동래부에 거주하는 인물로서 미천한 신분이었다. 세종실록 의 가록에서 장..

    답글삭제

댓글은 글에대한 부담없는 표현이며 방문자가 남기는 흔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