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약초서적 알아보기

약초(藥草)와 본초학(本草學)-서적

최근 현대인들의 고령화 년령이 더욱 길어 지면서 자연 약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전문적인 지식없이 어떤증상에 무었이 좋다더라고 하는 식으로 약초에 접근하는것을 볼수 있는데 이것은 위험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반인이 한의학 전문인 처럼 다 알고 음용할수는 없지만 그 약초의 근본적인 분석이나 추천이 전문적인 서적이나 이론적인 근거가 어디에서 부터 유래하는지를 알아 본다면 더욱 적절한 증상에 사용 하고자하는 약초를 공부하고 적용시킬때 참고가 될수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약초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을 한방에서는 본초학(本草學)이라고 하는데 이 학문에는 식물만 다루는것이 아니고 동물과 광물도 포함되어 본초학이라고 한다.

 

본초학은 그 역사가 중국에서 유래했으며 오래된 관련 서적도 중국에 많다.

약초를 이용하는것은 학문이기 이전에 생명체가 살아남고자 하는 본능에서 오랜시간 축적된 경험으로 좋고 나쁜 식물과 광물 동물이 가려지게 되었으며 그것을 이론적으로 조금씩 구체화하는가운데 기록으로 정리되고 있고 그 정리된 기록은 날이갈수록 더욱 확실한 분류가 탄생된다고 본다.

 

약초는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들도 사용하며 나쁜것은 먹지도 않는다.
이런 약초에 관한 연구가 중국에서 국가적으로 체계화 하는 가운데 일본이나 한국도 중국의 체계를 인용하고 있는것이 사실이다.

 

중국의 고전 본초학 서적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내용:약초에관한 체계적인 연구서,년대:동한(東漢)말

신농본초경

현존 최고의 약학고전
神農本草經-是現存最早的藥物學專著
為我國早期臨床用藥經驗的第一次系統總結,歷代被譽為中藥學經典著作。
全書分三卷,載藥365種(植物藥252種,動物藥67種,礦物藥46種),
分上、中、下三品,文字簡練古樸,成為中藥理論精髓。
 
書中對每一味藥的產地、性質、採集時間、入藥部位和主治病症都有詳細記載。
對各種藥物怎樣相互配合應用,以及簡單的製劑,都做了概述。
更可貴的是早在兩千年前,我們的祖先通過大量的治療實踐,
已經發現了許多特效藥物,如麻黃可以治療哮喘,大黃可以瀉火,常山可以治療瘧疾等等。
這些都已用現代科學分析的方法得到證實。
 
《神農本草經》歷代有多種傳本和注本,現存最早的輯本為明盧複輯《神農本經》(1616),
流傳較廣的是清孫星衍、孫馮翼輯《神農本草經》(1799),
以及清顧觀光輯《神農本草經》(1844)、日本森立之輯《神農本草經》(1854)。  
本電子書選自清孫星衍版本。


2.황제내경 黃帝內經-의학서
3.상한론 傷寒論-치료 의학서

4.금궤요략 金匱要略 -치료 활용서


고전을 바탕으로 처음 신농본초경에서 언급한 약종은 365종이었으나 현재는 연구와 경험이 계속 보태어저서 5000여종의 약이 각종 본초학에서 다뤄지고 있다.

 

고전을 바탕으로 갱신된 본초학 서적.

1.신농본초경집주(도홍경陶弘景452~536) -730종 취급.
2.신수본초 新修本草- 850종(659년)-850종취급.
3.본초습유 本草拾遺-저자:진장기(陳藏器)739년 

4.경사증류비급본초 經史證類備急本草-저자:당신미(唐愼微),송대(1086~93) 쓰촨四川성 名醫  ,1746종 취급.

5.본초강목 本草綱目-본초학의 압권이라고 할만한 책.명대 1552년 27년간의 연구.저자:이시진.
취급종수:1,892종,분류:16부, 62류(類), 주해:석명(釋名)-집해(集解)-수치(修治)-기미(氣味)-주치(主治)-발명(發明)-부방(附方)

本草綱目(明李時珍)
 

본초강목

李時珍是中國古代偉大的醫學家,從1552年開始研究歷代的中國本草文獻,去繁補闕,精益求精,窮三十餘年的努力,終於在1578年寫成了《本草綱目》,全書共計190萬字,52卷,分1262類,共有1892種藥。每種藥材都詳細地敍述了性味、產地、形態、採集方法、炮製過程、藥理研究、方劑配合等。另外還有10000多附方,分列於有關藥材之後,說明該藥在臨床上的實際應用。總結了我國人民在16世紀以前的藥學經驗。不僅詳細地整理了過去各家《本草》中所錄的藥物,而且新增了300多種,收集了過去方劑學中的有效成方,採用了許多民間驗方。同時對大量藥物進行了細緻的研究,論述了藥物的培植、藥劑的炮製、生藥的鑒定、煎藥須知等。綜合面之廣是空前的,博而不繁,詳而有要,綜核究竟,直窺淵海。集明代以前歷代藥學成果之大成。

諸位留意,中醫藥典《本草綱目》中的水部都是食物,極其普通的天然食物(同時也是中藥),包括其餘各部中亦有不少是食物。現代中醫院中藥房一般只有草、木、蟲、金石部而已,同樣位列這本中醫藥典之上的食物並未被使用和繼承,盡管這些食物都是上品的中藥、無毒無害、珍貴無比!《本草綱目》既然明列這些食物是中藥,可以治病,我們又何樂而不為,完整地繼承之。這就是將此中醫藥典置於此處之目的,引經據典,以正視聽,同時也方便研究者


6,본초강목습유-저자:조학민(趙學敏)(1765),1,892+716종.활동:청대.
7,식물명실도고 植物名實圖考-저자:오기준(吳其浚)(1849), 1,922종:청대.

8,중의학(中醫學):중국이 공산화된후 국가가 발전시키기시작함.5000여종.

 

 

댓글

  1. trackback from: contextual의 생각
    약초서적 알아보기 약초(藥草)와 본초학(本草學)-서적

    답글삭제

댓글 쓰기

댓글은 글에대한 부담없는 표현이며 방문자가 남기는 흔적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송광사의 설경::OmnisLog

송광사의 설경::OmnisLog 겨울 산중가람 방문 사진후기 전국적으로 한파가 몰아치고 서해중부지역으로 강설이 내립니다. 교통주의 사고주의 미끄럼주의를 해야 하며 생활에 불편이 많지만 한편으론 설경이 포근하고 아름다워서 마음이 풀리기도 합니다. 눈이 많이 온것을 두고 득실을 논하는것은 아니며 눈속의 그림같은 풍경을 말 하는것 뿐입니다. 눈덮인 경치는 하얀색갈로 모든것을 덮어버려서 깨끗한 느낌때문에 좋은것이 아닐런지요. 어쩐지 근심걱정이 사라지고 포근하고 행복해지는 느낌이 드는것은 사실입니다. 특히나 눈올때 산중 사찰을 찾아가 보면 애애한 경치와 사찰풍경이 잘 어울어저서 하나의 자연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그속에서 움직이는 사람까지도 말입니다. 아래는 전라도 송광사에서 담은 사진 몇장입니다. 송광사 설경 송광사 설경 송광사 설경 고드럼

자연상태의 다람쥐 유인 블로그 에쎄이

자연상태의 다람쥐 유인 블로그 에쎄이 자연상태의 다람쥐 유인 영축산 산행중 가지고 있는 빵으로  다람쥐를 유인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조심성이 아주 많았지만 끈질기게 기다려서 빵을 가지고 가서 먹고 또오는 일을 반복하다가 마침내 바위에서 먹을만큼 경계심을 늦추게 되었답니다.    올봄에 나온 새끼인진 몰라도 가을까진 먹을것이 귀한 산중입니다. 온갖열매가 나올때 까지는 굼주리는게 보통 산짐승들이지요..   야생 조류 유인하기 처음으로 유튜브에 동영상 만들어 본겁니다.꽤 번거롭군요.. 

예쁜 노랑 자생화-자생약초-애기똥풀 블로그 에쎄이

예쁜 노랑 자생화-자생약초-애기똥풀 블로그 에쎄이 봄부터 여름까지 노랑꽃이 예쁜  자생약초 -  애기똥풀(백굴채)   다른이름:   Chelidonium majus L. var. asiaticum (Hara) Ohwi   백 굴채(白屈菜:구황본초(救荒本草)),지황련(地黃連,우금화:牛金花:식물명휘(植物名彙),토황련(土黃連: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팔보긴 (八步緊, 단장초:斷腸草,산서과:山西瓜:요녕경제식물지(遼寧經濟植物誌)),웅황초(雄黃草:섬서중약지(陝西中藥誌)),산황련(山黃連:요녕 상용중초약수책(遼寧常用中草藥手冊)),가황련(假黃連: 동북상용중초약수책(東北常用中草藥手冊)),소야인혈초(小野人血草: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까치다리,젖풀,씨아똥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수 있습니다. DSLR-A300 | Shutter priority | Center-weighted average | 1/125sec | F/5.0 | 60.0mm | ISO-100 | 2011:05:06 16:15:44 DSLR-A300 | Shutter priority | Center-weighted average | 1/125sec | F/5.6 | 100.0mm | ISO-100 | 2011:05:06 16:15:20 꽃이 예쁜 양귀비과의 애기똥풀은 전세계에 2종이며 그중 한개가 우리나라에 변종으로 자라고 있는 가치있는 식물이지만 우리 들판에서 흔히 볼수 있다. 학명: Chelidonium majus L. var. asiaticum 분류:  양귀비과의 두 해살이풀 크기:15~50Cm 정도  꽃:4월~8월 노란색  꽃차례: 산형꽃차례 열매: 가느다란 삭과의 기둥모양이 하늘을 보고 서있다. 서식지:마을근처의 늪지나 논두렁 풀밭 특징: 줄기를 자르면 진노랑색 유액이 나온다. 자연염료로도 사용하며 한약재로서 백굴채라 한다. 생약으로 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