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생약초인 게시물 표시

본초학(本草學)과 약초(藥草)서적

이미지
약초(藥草)및 본초학(本草學)서적 최근 현대인들의 고령화 년령이 더욱 길어 지면서 자연 약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전문적인 지식없이 어떤증상에 무었이 좋다더라고 하는 식으로 약초에 접근하는것을 볼수 있는데 이것은 위험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반인이 한의학 전문인 처럼 다 알고 음용할수는 없지만 그 약초의 근본적인 분석이나 추천이 전문적인 서적이나 이론적인 근거가 어디에서 부터 유래하는지를 알아 본다면 더욱 적절한 증상에 사용 하고자하는 약초를 공부하고 적용시킬때 참고가 될수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약초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을 한방에서는 본초학(本草學)이라고 하는데 이 학문에는 식물만 다루는것이 아니고 동물과 광물도 포함되어 본초학이라고 한다. 본초학은 그 역사가 중국에서 유래했으며 오래된 관련 서적도 중국에 많다. 약초를 이용하는것은 학문이기 이전에 생명체가 살아남고자 하는 본능에서 오랜시간 축적된 경험으로 좋고 나쁜 식물과 광물 동물이 가려지게 되었으며 그것을 이론적으로 조금씩 구체화하는가운데 기록으로 정리되고 있고 그 정리된 기록은 날이갈수록 더욱 확실한 분류가 탄생된다고 본다. 약초는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들도 사용하며 나쁜것은 먹지도 않는다. 이런 약초에 관한 연구가 중국에서 국가적으로 체계화 하는 가운데 일본이나 한국도 중국의 체계를 인용하고 있는것이 사실이다. 중국의 고전 본초학 서적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내용:약초에관한 체계적인 연구서,년대:동한(東漢)말현존 최고의 약학고전 神農本草經-是現存最早的藥物學專著,  為我國早期臨床用藥經驗的第一次系統總結,歷代被譽為中藥學經典著作。  全書分三卷,載藥365種(植物藥252種,動物藥67種,礦物藥46種),  分上、中、下三品,文字簡練古樸,成為中藥理論精髓。     書中對每一味藥的產地、性質、採集時間、入藥部位和主治病症都有詳細記載。  對...

털머위 꽃피는계절에 알아보는 속성::OmnisLog

이미지
털머위 꽃피는계절에 알아보는 속성::OmnisLog 가을이 되면서 털머위 꽃이 한창입니다. 노란 색갈의 작은 해바라기 처럼 숲속에 핀 털머위 꽃은 제법 예쁩니다. 털머위는 머위처럼 생겼지만 줄기에 털이 있으며 잎은 매끄럽고 머위는 나물로 이용하지만 털머위는 나물이 아닙니다. 산나물 채취 할 때는 주의식물입니다. 한국과 일본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 울릉도나 제주도 등 남해안 섬 지방에 주로 분포하는데 최근에는 남부 지역에서 산해하다 보면 공원이나 체육시설등 주변에서 보게 됩니다. 바닷가 숲속, 습기가 충분한 반그늘 지역에서 잘 자라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키 30~50 센티미터쯤 되는 보통 머위정도의 크기입니다. 줄기 전체에 연한 갈색 솜털이 나 있으며 잎은 머위보다 약간 크거나 비슷한 길이 4~15 센티미터, 너비 6~30 센티미터이며 머위보다 두껍고 잎에 윤기가 나며 잎 가장자리에 가끔 톱니가 있는것도 있지만 대부분 밋밋합니다. 꽃은 9~10월에 피는데 11월에도 볼 수 있군요. 가지 끝에 1개씩 피지만 털머위가 한꺼번에 모여 자생하기 때문에 꽃이 많이 핀것처럼 보입니다. 학술적 정보는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국화군 국화목-국화과-국화아과-금방망이족-털머위속- 털머위(F. japonicum)입니다. 학명은 Farfugium japonicum 이며  한의학적으로 약용식이며 생약명은 연봉초(蓮蓬草)라고 합니다. 이명(異名)으로 곰취와 닮았다고 해서 말곰취라고 도 합니다. 한방적 특성은 신(辛), 온(溫) 으로 분류하고 약성 효능은 청열해독(淸熱解毒), 활혈(活血)에 이용합 니다. 약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채취시기는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털머위 전초를 채취 햇볕에 건조 한다. 약성은 차거우며 맛은 달고 담백한것으로 분류합니다. 청혈해독 활혈로서 - 해열, 지사, 해독, 소종 에 이용하며  증삭정 이용으로 보면 - 감기발열, 기관지염, 목이 부어 아플...

자생 약용 식물 - 맥문동+

이미지
자생 약용 식물 - 맥문동++++DRAMATIQUE ESSAY 전신의 맥을 뚫게 하는 약초 - 맥문동 한국의 약용 자생산야초 탐구 몸속의 소통을 좋게하는 약초. ヤブラン ( ユリ科の多年草 ) 。 麥門冬 Liriope platyphylla 이 계시물은 일반인이 공부하는 자세로 여기저기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생약초에 관심있는 보통 사람들을 위한 정보 공유 차원에서 쓰여진 것이며 한의학적인 전문적 내용이 아님을 밝히며 본 내용을 임의 배포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외떡잎식물로서 백합목 백합과의 상록 다년생 풀이다. 맥문동이라는 한자어는 그 뿌리가 穬麥처럼 흙속을 뻗어 나는데서 유래한 한자어에 유래한 이름이다. 백합과의 다년생초본. 연한 자주색꽃이 피며 이름없는 난초처럼 길가에 흔히 볼수 있다. 4철 언제나 푸른잎을 가지고 있어 공원이나 화단에 관상용으로 많이 애용된다. 주로 그늘에 잘 자란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무성하게 자란다.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되는데 줄기는 곧게 서서 난초같은 풀섶위로 높이 20∼50cm 우뚝 피어 오른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선형(線形)이며 자생난초같지만 끛이 둥글고 잋은 뚜껍다. 길이 30∼50cm, 나비 8∼12mm이고 밑부분이 잎집처럼 된다. 꽃은 5∼6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8∼12cm이며 작은꽃가지에 마디가 있다. 씨방상위이며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일찍 과피(果皮)가 벗겨지므로 종자가 노출되며 자흑색(紫黑色)이다. 열매는 녹색에서 자주색으로 다시 흑색으로 변한다. 개맥문동(L.spicata)은 본종과 비슷하나 잎맥의 수가 7∼11개로 11∼15개의 맥이 있는 맥문동과 구분된다. 덩이뿌리를 소염·강장 ·진해·거담제 및 강심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덩이뿌리에는 사포닌, 당, 점액질 등이 들어 있어 맛이 달면서 쓰다. 통통한 뿌리 덩어리를 ...

자생약초-차전초(질경이)

이미지
자생약초 질경이(차전초) 제철에 먹는 약용식물 여름철 자생약초 질경이의 고찰. 나물로 먹을수있고 약용식물로서 질경이 만한 것이 없다고 할만큼 질경이의 효능은 좋다고 한다. 질경이는 길가나 언덕 이나 산야의 입구 등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수 있는 식물이다. 길가에 밟히면서 크는 식물이지만 식용으로 할때는 풀밭의 부드러운것이 좋다. 최근에는 텃밭에 심어 건강식품으로 먹기위해 가꾸는 분들도 있다. 질경이의 식물 요약 과명 : Plantaginaceae (질경이과). 속명:Plantago (질경이속). 학명:Plantago asiatica L. 영어명:Asiatic Plantain. 일본어표기:オオバコ. 북한표기:질경이 중국:車前草 동명~이명:길경,배부장이,배합조개,빠부쟁이,빠뿌쟁이,빼부장,톱니질경이,차전초,길짱구 DSLR-A300 | Aperture priority | Center Weighted Average | 1/13sec | F/14 | 50mm | ISO-100 | 2010:06:13 15:16:34 DSLR-A300 | Aperture priority | Center Weighted Average | 1/8sec | F/4.5 | 40mm | ISO-400 | 2010:06:13 16:34:39 특징및 모양: 질경이는 줄기가 없고 잎이 뿌리에서 바로 나와 비스듬히 땅바닥으로 퍼지며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싸안고 자란다. 잎의 모양은 타원형이나 계란형으로 맥이 나란히 뻗으며 잎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개화기는 6∼8월이지만 지역에 따라 조금식 차이가 있고 꼬은 백색으로 수상꽃차례에 밀생하고 포는 꽃받침보다 짧고 대가 없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화관이 깔때기형으로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익으면 옆으로 갈라져서 열리고 6∼8개의 검은색 종자가 들어 있다. 동북 아시아 한국·일본·사할린·타이완·중국·시베리아 동부·말레...

맥을 뚫게 하는 약초 - 맥문동

이미지
전신의 맥을 뚫게 하는 약초 - 맥문동 한국의 약용 자생산야초 탐구 몸속의 소통을 좋게하는 약초. ヤブラン ( ユリ科の多年草 ) 。   麥門冬  Liriope platyphylla 이 계시물은 일반인이 공부하는 자세로 여기저기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생약초에 관심있는 보통 사람들을 위한 정보 공유 차원에서 쓰여진 것이며 한의학적인 전문적 내용이 아님을 밝히며 본 내용을 임의 배포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외떡잎식물로서 백합목 백합과의 상록 다년생 풀이다. 맥문동이라는 한자어는 그 뿌리가 穬麥처럼 흙속을 뻗어 나는데서 유래한 한자어에 유래한 이름이다. 백합과의 다년생초본. 연한 자주색꽃이 피며 이름없는 난초처럼 길가에 흔히 볼수 있다. 4철 언제나  푸른잎을 가지고 있어 공원이나 화단에 관상용으로 많이 애용된다. 주로 그늘에 잘 자란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무성하게 자란다. 뿌리 끝이 커져서 땅콩같이 되는데 줄기는 곧게 서서 난초같은 풀섶위로 높이 20∼50cm 우뚝 피어 오른다. 잎은 짙은 녹색을 띠고 선형(線形)이며 자생난초같지만 끛이 둥글고 잋은 뚜껍다.  길이 30∼50cm, 나비 8∼12mm이고 밑부분이 잎집처럼 된다. DSLR-A300 | Aperture priority | Center-Weighted Average | 1/320sec | F/6.3 | 35.0mm | ISO-400 | 2010:01:07 14:30:07 꽃은 5∼6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8∼12cm이며 작은꽃가지에 마디가 있다. 씨방상위이며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일찍 과피(果皮)가 벗겨지므로 종자가 노출되며 자흑색(紫黑色)이다. 열매는 녹색에서 자주색으로 다시 흑색으로 변한다. 개맥문동(L.spicata)은 본종과 비슷하나 잎맥의 수가 7∼11개로 11∼15개의 맥이 있는 맥문동과 구분된다. 덩이뿌리를 소염...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DRAMATIQUE ESSAY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DRAMATIQUE ESSAY :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 일반인의 자생약초 관심이 높은가운데 자생약초의 건강식품이나 건강기능 식품으로서 상업적인 이용을 하곤하는데, 이중에서 법적으로 그 재료로서 사용하면 법적인 책임이 따르는 몇종류의 식물 광물 동물 등의 재료를 법적으로 고시하고 있으며 그 법의 개정본과 개정전의 원문을 올립니다. 자생약초를 사랑하는 매니어 분들께 도움되길 바랍니다."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DRAMATIQUE ESSAY

이미지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DRAMATIQUE ESSAY : "약용 노박덩굴 생약명: 남사등(南蛇藤), 뿌리:남사등근 잎: 남사등엽 자생 약초 노박덩굴은 겨울에 열매가 마치 꽃처럼 예쁘다. 이름이 덩굴이지만 나무가지 형태이다."

약초서적 알아보기

이미지
약초(藥草)와 본초학(本草學)-서적 최근 현대인들의 고령화 년령이 더욱 길어 지면서 자연 약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전문적인 지식없이 어떤증상에 무었이 좋다더라고 하는 식으로 약초에 접근하는것을 볼수 있는데 이것은 위험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반인이 한의학 전문인 처럼 다 알고 음용할수는 없지만 그 약초의 근본적인 분석이나 추천이 전문적인 서적이나 이론적인 근거가 어디에서 부터 유래하는지를 알아 본다면 더욱 적절한 증상에 사용 하고자하는 약초를 공부하고 적용시킬때 참고가 될수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약초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을 한방에서는 본초학(本草學)이라고 하는데 이 학문에는 식물만 다루는것이 아니고 동물과 광물도 포함되어 본초학이라고 한다.   본초학은 그 역사가 중국에서 유래했으며 오래된 관련 서적도 중국에 많다. 약초를 이용하는것은 학문이기 이전에 생명체가 살아남고자 하는 본능에서 오랜시간 축적된 경험으로 좋고 나쁜 식물과 광물 동물이 가려지게 되었으며 그것을 이론적으로 조금씩 구체화하는가운데 기록으로 정리되고 있고 그 정리된 기록은 날이갈수록 더욱 확실한 분류가 탄생된다고 본다.   약초는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들도 사용하며 나쁜것은 먹지도 않는다. 이런 약초에 관한 연구가 중국에서 국가적으로 체계화 하는 가운데 일본이나 한국도 중국의 체계를 인용하고 있는것이 사실이다.   중국의 고전 본초학 서적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 -내용:약초에관한 체계적인 연구서,년대:동한(東漢)말 현존 최고의 약학고전 神農本草經-是現存最早的藥物學專著 , 為我國早期臨床用藥經驗的第一次系統總結,歷代被譽為中藥學經典著作。 全書分三卷,載藥365種(植物藥252種,動物藥67種,礦物藥46種), 分上、中、下三品,文字簡練古樸,成為中藥理論精髓。   書中對每一味藥的產地、性質、採集時間、入藥部位和主治病症都有詳細記載。 對各種藥物怎樣相互配合應用,以及簡單的製...

약용 자생산야초(1)자귀나무

이미지
약용 자생 산야초-자귀나무 이 계시물은 일반인이 공부하는 자세로 온라인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생약초에 관심있는 보통 사람들과의 정보 공유 차원에서 쓰여진 것이며 한의학적인 전문적 내용이 아님을 밝히며 본 내용을 임의 배포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자귀나무는 콩목 콩과의 식물이며 학명은 Albizia julibrissin이고 원산지는 남동아시아,이란, 중국, 한국이다. Albizzia 라고쓰는것은 오기이며, 종명인 julibrissin은 비단 꽃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Gul-i Abrisham(گل ابریشم)이 전해진 것이다. 자귀나무의 껍질은 맛이 달고 성질은 평하다. 심경, 간경에 작용하며 울혈이결집된 것을 풀어 혈을 조화시켜서 마음을 가라앉히고 종기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주된효과:심신불안, 해수,기생충구제,근육 경련, 타박상,우울증,불면증,폐옹,옹종, 나력, 근골 절상을 치료함.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서 하루 3번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한스푼 정도를 복용한다.외용시는 분말로 가루를내어 개어서 붙인다. 한방에서는  합환피(合歡皮)로 불리기도 하며 해울·화혈·소종 효능 우울증·폐농양·종기·어혈·골절통 약재로 활용 하고 있지만 하지를 튼튼이 하기도 한다. 붉은 부드러운 화장붓처럼 생긴 실타래를 풀어 놓은 듯한 꽃과 저녁이면 잎이 오므라들어 서로 맞붙어 잠을 자는 자귀나무는 소가 잘 먹어서 소쌀밥나무라고도  부르며 예전에 부부의 금실을 상징한다고 해서 정원수로도 사용한다. 자귀나무는 콩과의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3-5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게 붙고 작은 타원형의 많은 잎들이 대칭으로 붙어 하나의 큰 잎을 형성하는 겹잎식물이다. 꽃은 6-8월경 연분홍의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피는데 가는 깃털이 솟은 모양이 여름철 우산 모양의 한 덩어리를 이룬듯 화려한 꽃이 피었다가 9-10월경에 길이 15㎝ 가량의 콩깍지처럼 생긴 열매에 5-6개의 종자가 들어있고 열매가 익는다. 중부이남의 산 기슭이나 마을 근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