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방문자분석인 게시물 표시

변화하는 텍스트 큐브

이미지
텍스트 큐브가 달라지고 있다. HABRACADABRAH-아브라카다브라 !!-- 뜻대로될지어다!!   구글 텍스트 큐브가 능동적인 블로그 PR 을 하면서 지금까지 구글 자체적으로 기대했던것 많큼 결과가 좋은지는 모른다.   그러나 텍큐 유저로서 재미로 해보는 나의 블로그 방문자 분석에서 이번에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텍스트 큐브가 거대구글과 어떻게 내부적으로 기술적인 컴비네이션을 이루는지는 나는 모른다. 다만 내 블로그 유입 경로나 방법이나 경로 순위 등을 볼때 지난달 하고는 확실히 차이가 나기 시작한다.   첫채는 내 블로그 방문자 유형이 바뀌는데,구글 검색에서 내 블로그의 검색율이 올라 가면서 전체적인 방문자 패턴이 URL-다이렉트에서 검색엔진으로 순위가 바뀌었으며 특히 검색엔진 순위에서 구글이 한단게 올라 갔다.                               아래의 이미지에서 보는것 처럼 유입검색엔진 순위가 네이버 에 이어 2위를 마크하는 구글을 볼때 구글 텍스트 큐브팀이 무언가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유입경로나 검색엔진 순위도표는 텍큐에서 제공하는 것이며 위의 컬러 이미지는 웹인사이드 내용이다.   특히 놀라운것은 빙이 검색엔진 유입순위 6위로 올라온 사실에 고무 된다.      

구글 링크가 짜게 걸리는 이유를 알고 싶다.

이미지
제출된 링크에 대한 결과.   구글이 조금만 도와주면 트래픽이 개선 될텐데.... ^^   블로그를 하면서 전문적-네트웍 기술이 있는것도 아니고 서핑으로 주어 들은 지식으로 블로그를 하면서  나름대로 많은 링크가 생성되어 가치레벨도 오르고 잠재적인 검색에 걸릴 확율도 높아 지리라는 생각으로 글 하나를 만들고 난 뒤에 나름대로 뻘짓을 하는데..   최근 블로그 개설 두달만에 방문자 분석을 한게 있었는데 구글이 내 생각으로는 텍큐에만은 프리미엄까지는 아니드라도 타 엔진에 비해서 쉬운 접근이 될것이라는 나의 생각과는 전혀 다른결과로 텍큐와의 트래픽이 유지되고 있다.   글을 발행하고 난후에 제출되는 링크는 구글에 3개가 된다. 북마크,리더,아이구글,이지만 다른 곳에는 리더만 이던지 북마크만 이던지 하나만 제출된다.   그런데도 검색엔젠으로 부터 들어오는 방문자는 다른 엔진에서 들어오는 숫자가 훨씬 많다. 사용자가 구글이 적다는것은 내 상식으로는 납득이 안가서 오늘 걸려있는 링크 숫자를 세어 봤다. 링크 체커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결과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아무거나 써도 마찬가지었다. 내가 체크한 링크 결과를 보면 아래와같이 구글에 링크가 걸리는 숫자는 타에 비해서 아주 작다. 위의 그림처럼 동일한시간에 똑같은 노력으로 다른 링크와는 너무 차이가 난다.   기술적인 이유는 나는 모르고 웹사이트 유저들은 쉬운 링크가 많이 걸리기를 원한다. 단시간에 나의 URL이 많이 퍼진다는데 싫어할 이유는 없다.   어떻게 하면 구글링크도 다른 포털처럼 발행하는대로 걸릴수 있을가 하는것이 나의 의문이다. 아니면 구글은 첨부터 허접한 링크는 수용안하는 무슨 알고리즘이 있는것인지도 모른다.   텍큐가 구글보다 다른 포털에 더많은 링크가 걸려있는것을 보고 이글을 쓴다. 나야 머 구글에서 오건 야후에서 오건 방문자...

검색엔진 유입순위

이미지
블로그를 개설하고 두달 하고 몇일이 지났습니다.   하루에 300카운터를 중심으로 맴도는데 멀 그걸로 카운터를 분석하고 말고 할것 있느냐 하겠지만..   그래도 나는 내 방문자 카운터가 신경 쓰인다. 텍스트큐브 가입형 블로그를 운용한지 한달만에 유입자 분석을 체크 한거 하고 이번에 체크한것 하고는 많이 다릅니다.   처음 한달 만에는 검색엔진 보다는 텍큐 내의 로컬블로거 분들의 이른바 품았이 방문이 많았는데 이제는 검색엔진 유입이 많아 젔고 그중에서 월등하게 방문자를 많이 보내주는 검색엔진이 네이버 이군요.   품았이 방문이 영원히 큰 부분으로 남겠지만 많은 데이터가 쌓인후를 생각할때 불특정 다수의 검색엔진 유입이 가장 바람직한것은 사실이며 그것에 관심 가지 않을수 없다.   역시나 국내 서치는 네이버에서 이루어지는 량이 많습니다.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구글 검색엔진도 구글에서 제공하는 텍큐를 사용하는데도 유입량이 적은것을 보면 국내인들이 구글서치를 사용하는 량이 적다는 이유 밖엔 없다고 생각합니다.   심플 단순하고 광고하나 없는 구글검색은 그 결과도 광범위하고 만족할만 한데 네이버에 밀리는 이유를 관련자 분들은 많이 연구 하리라 봅니다.   본인도 디폴트 검색은 구글로 하지만 네이버를 2차 검색엔진으로 쓰고 있지만 다목적 으로 이용 할때는 네이버가 더 편리하고 유리한 것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하여튼 내 블로그 방문자를 어느 포털에서 많이 보내 주는가가  나에게는 중요하다. 구글 검색이 야후검색 정도 만이라도 내 사이트를 노출시켜 주면 좋겠다.   물론 이 평가는 나의 블로그에 국한 하는것 임으로 전체 평균은 절대로 될수없다. 나의 블로그 카운터가 신경쓰이며 나의 블로그 유입경로가 신경스일뿐 남이야 어디서 제일 많이 들어오건 체크할 방법은 없고 할필요도 없다.   내 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