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DSLR인 게시물 표시

풀프레임 카메라

이미지
카메라용어 설명 풀프레임(Full frame DSLR)카메라란 ?   DSLR 카메라의 고급성능을 설명할때 1:X 즉 1:1.5X 등을 말하는데 이 이야기는 카메라의 촬상은 필름으로부터 시작됬기 때문에 필름을 기준으로 하며 가끔 큰 필름을 기준으로하는 특별한 카메라도 있지만 통상 일반적인 35mm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디지탈카메라의 필름부분에 해당하는 촬상소자에 몇%의 화상이 맺히는가의 비율로서 필름 35mm 대비 100%일때 풀프레임(Full frame)카메라라고 한다. 이런 풀프레임일때는 그렇지않은 카메라의 피사물에대한 실제적 표출능력이 뒤어나는것은 당연하다. 동일 화소의 CCD 일지라도 3/4프레임의 화상과 풀프레임의 화상은 월등한 차이가 있기마련이다. 위의 그림에서 넓이가 정밀한 계산적인 넓이와는 맞지않지만 이해를 돕기위해서 CCD프레임과 필름35mm의 촬상부 넓이를 보여드립니다. DSLR은 보통 35mm필름카메라를 기반을 사용을 하지며(가끔은 중형필름 기반을 사용을 하는 DSLR도 존재함)현재 거의 모든 디카도 35mm기준 CCD를 말합니다. 풀프레임은 35mm 필름과 동일 크기의 촬상면을 가진CCD를 사용 하는 DSLR을 의미 하지요. 즉  1:1바디는 이 필름기준 100% 촬상면을 사용하는 CCD를 말합니다. 보통 중급형이나 보급형 DSLR의 경우에는 필름보다 1.5배(니콘/소니/펜탁스=APS-C사이즈라고 합니다.) 작은 CCD를 사용을 하고, 올림푸스는 2배(포서드 사이즈), 캐논은 1.6배 작은 CMOS를 사용을 합니다. 가끔 CMOS라고 표현하는데 이말은 촬상소자 즉 CCD를 만든 반도체가 C형 MOS 반도체를 사용했다는 말임으로 같은 뜻이며  CCD와 CMOS는 반도체 특성상 약간 성질이나 결과가 다르지만 영상을 촬상하는 기능은 동일하며 소비전력이나 화질의 특성은 조금 다르지만 우열을 말하기는 곤란하며  둘다 필름을 대신하는 디지털 카메라 부분인것은 동일합니다. 글:DRAMA...

무시 당하는 번들

이미지
번들렌즈의 가치. 내가 아는 번들렌즈에 대한 상식-가격대비 성능 최고렌즈.       디지털 카메라를 만지고 그것이 어른 장난감 수준을 벗어나고 애착이 가는 필수품으로 자리잡게되는 시기쯤 되면 소위 말하는 뽐뿌질을 감당하기 힘들어서 지름신한테 밀려서 질러버리게 되는것이 보통사람들의 DSLR 구매 시기일 것이다.   특별히 재정상태가 좋은분 들이야 첨부터 최고급 바디에 좋다고 소문난 렌즈를 달고 입문하는분도 있을것 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뽐뿌질 당하는 물건을 놓고 쉽게 지르지는 못한다고 본다.   SRL이란 기계는 애당초 렌즈를 별도로 구입해서 취향이나 목적에 따라서 유저가 선택할 몫으로 남기는것이 정석이지만, 카메라 메이커나 공급자로서는 사용자를 배려해서 물건을 사고 바로 현장에서 사진을 찍을수있도록 배려 하고 있다.   이 과정이 매우 중요한데 카메라 메이커 각사는 그들이 개발 보급하는 신제품에 끼워주는 렌즈를 가장 고심해서 선택한다.   물론 수입자나 공급자나 판매점도 똑같이 심사숙고해서 결정하는 부분이 바로 번들렌즈이다. 특별히 비싸지않고 자기들이 개발한 신제품의 기술적인 장점이나 기능을 충분히 소화 할 수 있는 렌즈를 부착해서 발매한다.   심지어는 어떤 메이커에서는 뒤늦게 발견한 번들의 품질 때문에 출하를 늦출수 밖에 없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처럼 고심하여 공급하는 번들렌즈를 우리나라 일부 층에서는 쓰레기처럼 따로오는 교육용 물건으로 말하면서 카메라를 조금 다룰줄 알면 버릴 렌즈로 이야기 하는 것을 본다. 잘못아는 일부 유저는 카메라에 쓸데없이 따라와서 할수없이 산 것일뿐 구입 하자말자 써 보지도 않고 중고로 내다 파는 모습을 볼때 아쉬운 마음이 들때가 있다.   실제로 최고급 렌즈는 아닐지라도 번들은 가장 적절한 기본 화각과 적절한 출력물을 내는데 전혀 손색이...

풀프레임(Full frame DSLR)카메라란 ?

이미지
디지털 카메라 - 용어 풀프레임(Full frame DSLR)카메라란 ?   DSLR 카메라의 고급성능을 설명할때 1:X 즉 1:1.5X 등을 말하는데 이 이야기는 카메라의 촬상은 필름으로부터 시작됬기 때문에 필름을 기준으로 하며 가끔 큰 필름을 기준으로하는 특별한 카메라도 있지만 통상 일반적인 35mm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디지탈카메라의 필름부분에 해당하는 촬상소자에 몇%의 화상이 맺히는가의 비율로서 필름 35mm 대비 100%일때 풀프레임(Full frame)카메라라고 한다. 이런 풀프레임일때는 그렇지않은 카메라의 피사물에대한 실제적 표출능력이 뛰어나는것은 당연하다. 동일 화소의 CCD 일지라도 3/4프레임의 화상과 풀프레임의 화상은 월등한 차이가 있기마련이다. 위의 그림에서 넓이가 산술적 계산적인 넓이와 일치 하지는 않지만 이해를 돕기위해서 CCD프레임과 필름35mm의 촬상부 넓이를 보여드립니다. DSLR은 보통 35mm필름카메라를 기반으로 말 하지만(가끔은 중형필름 기반을 사용 하는 DSLR도 존재함)현재 거의 모든 디카는 35mm기준 카메라를 대상으로 하는 비교-CCD 크기를 말합니다.   풀프레임은 35mm 필름과 동일 크기의 촬상면을 가진CCD를 사용 하는 DSLR을 의미 하지요. 즉  1:1바디는 이 필름기준 100% 촬상면을 사용하는 CCD를 말합니다. 보통 중급형이나 보급형 DSLR의 경우에는 필름보다 1.5배(니콘/소니/펜탁스=APS-C사이즈라고 합니다.) 작은 CCD를 사용을 하고, 올림푸스는 2배(포서드 사이즈), 캐논은 1.6배 작은 CMOS를 사용을 합니다. 가끔 CMOS라고 표현하는데 이말은 촬상소자 즉 CCD를 만든 반도체가 C형 MOS 반도체를 사용했다는 말임으로 같은 뜻이며 둘다 맞는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