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플라워(Coneflower-Echinacea). 수레국화(Centaurea cyanus L.)::OmnisLog

이미지
콘플라워(Coneflower-Echinacea). 수레국화(Centaurea cyanus L.)::OmnisLog 대표적인 여름꽃 눈을 밝게하는 콘플라워(Coneflower-Echinacea). 수레국화(Centaurea cyanus L.) 여름꽃 콘플라워가 한창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쭉 피는 꽃임으로 정원화로서 매력있는 꽃입니다. 콘플라워는 시기적으로 5월부터 초가을 9월까지 꽃이 피는데 2년생 화초식물입니다. 원산지인 프랑스에서는 17세기부터 가꾸던 오래된 꽃인데 '시야를 밝히는 꽃'이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이유는 약용으로 사용할때 콘플라워를 새벽이슬과 섞어서 눈을 진정시키는 효능 때문이라고 합니다. 약용외에도 화장품으로 눈주위를 밝게 해주는데 이용되는 식물입니다. 더위에 강하고 가뭄도 이겨내는 특성이 있으며 한여름 내내 오래 피는 꽃이라서 나비가 많이 찾아오나 봅니다.그래서 나비를 부르는 꽃이라고 하는군요. 콘플라워-Coneflower의 학명은 에키네이샤-Echinacea 입니다. 서양에서는 학명대로 꽃이름을 학명대로 에키네이샤-Echinacea로 부르기도 하는군요. 우리 주위에서 많이 보는 꽃도 몇종류되는데 꽃봉오리가 크고 장미빛 혹은 자주빛의 꽃으로서 가운데 부분이 다른색갈을 가진게 많습니다. 나비가 많이 좋아하는 꼬으로서 향기도 강합니다. 이 콘플라워 주위는 꽃향기가 그윽한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학술적 생물 분류는  식물계-속씨식물-진정쌍떡잎식물-초롱꽃목-국화과-국화속-수레국화이며 학명은 Centaurea cyanus입니다. 출처:  http://omnislog.com/978  [OmnisLog]

64비트 파이어폭스(Firefox) 다운로드::OmnisLog

64비트 파이어폭스(Firefox) 다운로드::OmnisLog 모질라(Mozilla)계통 브라우져의 우수한 무료 오픈 소스 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Firefox)는 계속해서 발전 개선되고있습니다. 특히 체감속도는 개인적으로 다르겠지만 빠른 브라우져라는 호칭에 동의합니다. 32비트시대를 지나고 대부분 64비트체제로 운영되는 시점에  64비트 파이어폭스 다운로드  안내입니다. 최근에 개선된 장점중에서 몇가지 살펴보면 동시에 여러 웹사이트를 검색할 수 있는 탭 기능을 들수 있습니다. 출처:  http://omnislog.com/968  [OmnisLog]

예쁜 여름꽃 풍접초(風蝶草)-족두리꽃-백화채::OmnisLog

이미지
예쁜 여름꽃 풍접초(風蝶草)-족두리꽃-백화채::OmnisLog 풍접초(風蝶草)는 족두리꽃이라고도 하고 백화채라고도 하는 아름다운 여름꽃입니다. 풍접초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며 아메리카가 원산지입니다. 유월부터 칠월에 걸쳐 화단에 흔하게 피는 아름다운 꽃입니다.  무더운 여름철에 화려한 자태를 보여주는  족두리꽃은 어지보면 여자들이 쓰던 족두리와 비견해 봄직하긴합니다. 누가 이름지었는진 모르지만 머리 핀이 꽂힌것도 갇고 예쁜 색시 머리에 얹어봄직도 합니다. 또다른 야생화  족두리풀의 자주색 꽃과는 다른꽃임으로 구별해서 혼동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 꽃을 북한에서는 나비꽃이라고 한다는데 조선말기에 만든 사전과 연관있다고 생각합니다. 또다른 이름 풍접초는 바람에 하늘거리는것이 나비가 날아가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풍접초(風蝶草)라고 한답니다. 족두리꽃은 칠월 한여름  더위속에서 아름다운 꽃을 바라보다 땀을 식힐만큼 예쁜 꽃입니다. 학술적 생물 분류는  식물계-속씨식물군-진정쌍떡잎식물군-장미군-십자화목-풍접초과-풍접초속- 풍접초입니다. 학명은 Cleome spinosa이며 영어권에서 그대로 Cleome spinosa로 부릅니다. 종류는 비슷비슷한 생김새로 다양하며 학명도 다릅니다. 출처:  http://omnislog.com/967  [OmnisLog]

갤럭시 노트7 리퍼비시(Refurbished)소식

이미지
갤럭시 노트7 리퍼비시(Refurbished)소식 갤럭시 노트7 리퍼비시(Refurbished). Galaxy Note7 Refurbished Plan. 갤럭시 노트7이 출시 발매 되던때를 되돌아 기억해 보면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리에 얼마나 힛트할지 가늠할수도 없을만큼 판매속도가 빨랐다고 생각합니다.    그 어마어마한 물량을 회수해서 어떻게 하고있는지 궁금했었네요. 전량 폐기하는것이라면 참 아까운 생각이 들었는데 리퍼폰활용 뉴스가 뜨는것을 보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했나 봅니다. 수거제품 재활용 계획으로 볼수도 있습니다. 정확한것은 아니지만 리퍼폰으로 판매한다면 가격이 50만~60만원 선으로 예상 된다는 보도를 놓고 볼때 통상 리퍼제품가격은 판매가 대비 50% 즉 반값 판매로 행해지는데 이에 가격적인 메리트는 괜찮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고장 수리를 한것도 아니고 배터리만 교체한 제품이라면 나부터 구입하고 싶어집니다. 당연히 본사차원의 제품 AS나 관리가 이루어 진다는 조건하에 말입니다. 삼성전자가 갤노트7을 리퍼비시(Refurbished)로 50만대정도를 판매하려고 하는 경우 이것은 통상 리퍼제품과는 좀 다른성격으로 볼수있습니다. 어떤 업체나 판매점에서 진열품이나 리콜제품을 개별적으로 수리해서 파는 리퍼일경우 품질의 균일성이 보장되지 않는경우가 있지만 이번 삼성의 경우 회사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일괄 문제를 해결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노트7을 이제사 출시하는것으로 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프리미엄폰으로 블랜드가치로 보나 스펙으로 볼때 메리트가 느껴집니다. 다만 갤럭시노트7 리퍼 제품으로 판매하는 하드웨어는 그대로이고 배터리 용량이 기존 3500mAh에서 3000~3200mAh로 다소 작아진다고 하지만 이정도 용량 축소는 사용패턴으로 달라지는 정도에 불과하다고 봅니다. 특히 아직도 국내에서만도 갤럭시노트7을 반납하지않고 사용하는 유저가 약 2만8...

OmnisLog :: 울산대왕암 관광

이미지
OmnisLog :: 울산대왕암 관광 울산 대공원 장미원 구경을 마치고 오후시간에 대왕암공원으로 갔습니다. 휴일날 울산이 이처럼 붐비는줄 몰랐습니다. 장미원에서 자동차 북새통을 뚫고 나온뒤 대왕암 공원 주차장에서 또 북새통을 만났습니다. 만차인 주차장을 한바퀴돌아서 나온뒤 어느 사유지 공터에 주차를 하고 대왕암 공원엘 들렸는데 이곳도 사람으로 북새통을 이룹니다. 대왕암 바위정상엘 한번 오르는데 구름같은 사람 행렬이 구경꺼리었네요. 울산이 이처럼 관광지로 변한줄을 미쳐 몰랐군요. 솔밭에서 자리판깔고 겨우 늦은 점심을 먺고 부산으로 돌아 오긴 했지만 휴일날 울산 함부로 들어가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대왕암공원에서 바람부는 솔밭길은 한번 걸을만 했네요.. 출처:  http://omnislog.com/953  [OmnisLog]

OmnisLog :: 자주색 봄꽃 자란(紫蘭),주란(朱蘭)

이미지
자주색 봄꽃 자란(紫蘭),주란(朱蘭) 늦은 봄에서 초여름사이에 피는 자란입니다. 자란은 대한민국 원산인 식물이며 숙근성 다년초 식물로서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고있습니다. 자란(紫蘭)은 북한에서 백급이라고 하며 난초과의 식물입니다. 해남,진도,유달산에 많이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비교적 양지 쪽에서 서식합니다. 한방에서는 덩이줄기를 백급(白及)이라고 하며 수렴·지혈·배농제로서 상처와 위궤양 등에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가슴앓이·기침과 호흡곤란 치료에 사용하며, 또 점질이 있어 풀을 만들기도 한다. 학술적인 정보로 학명은 Bletilla striata(Thunb. ex Murray) Reichb. fil이며, 속씨식물문-외떡잎식물강-아스파라거스목-난초과-석곡아과-아레투사족-자란속- 자란입니다. 자란(紫蘭)의 곷말은 서로 잊지 말자입니다. 일본어로는 シラン(紫蘭)이며 대왐풀 또는 주란(朱蘭)이라고도 합니다. 출처:  http://omnislog.com/947  [OmnisLog]

OmnisLog :: 루피너스(Lupine)-층층이부채꽃-탑꽃

이미지
OmnisLog :: 루피너스(Lupine)-층층이부채꽃-탑꽃 우리나라에서 화원이나 재배지에서 주로 보는것은 Washington Lupine라고 합니다. 루피너스(Lupinus)중 Washington Lupine는 여러해 살이 식물인데 우리나라 기후에서 노지에 월동하고 자란다고 합니다. 주로 분포하는 지역은 미국,아프리카,지중해 연안인데 비교적 따뜻한 지역으로 보이지만 우리나라 겨울을 견딘다고 하는것을 보면 상당한 저온에도 자라는것 같습니다. 출처:  http://omnislog.com/946  [OmnisLog]